[자막뉴스] 또다시 악재..정부 '10월 정점론'도 흔들

YTN 2022. 10. 10. 23: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물가 상승세를 두 달 연속 꺾은 1등 공신인 국제유가 안정세가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산유국 협의체인 오펙 플러스(OPEC+)가 코로나 대유행 이후 최대폭의 감산을 결정하면서 오름세로 돌아섰습니다.

정부가 주장하는 물가 10월 정점은 사실상 어렵게 됐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정환 /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 지금의 감산, 이에 따른 유가 상승에 대한 우려, 이런 것들이 인플레이션의 지속화를 어떻게 보면 유도할 수 있는 그런 상황이라고….]

이번 겨울이 얼마나 추울지, 또 러시아가 어떤 공세를 펼칠지에 따라 가스와 같은 에너지 가격이 폭등할 가능성도 큰 상황.

전기와 가스요금 고지서에 놀랄 만한 금액이 찍힐 수도 있는 겁니다.

[어운선 /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전기·가스요금하고 도시가스 요금 인상이 예정된 것도, 한 번 10월에 오르면 11월, 12월 다 오르는 식으로 나가는 거니까.]

최근 환율 급등으로 물가 불안을 키우면서 정점을 찍더라도 고물가 여파는 상당 기간 계속될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추경호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정점을 설사 지난다손 치더라도 상당히 높은 수준의 물가 상황이 지속할 거 같고, 하락하더라도 굉장히 서서히….]

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 변수도 여전해 고물가 고통은 쉽게 사그라지기 어려워 보입니다.

YTN 권남기입니다.

촬영기자 : 정철우

영상편집 : 이은경

자막뉴스 : 박해진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