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 청소하는 무인 자율수거 로봇 개발

박장훈 2022. 10. 10. 22: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전] [앵커]

바다에 떠다니는 각종 해양 쓰레기들이 항·포구 주변으로 밀려들게 되면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어민들 불편도 큰데요.

국내 연구진이 바다를 돌아다니며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는 무인 자율 이동 청소 로봇을 개발했습니다.

박장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폐플라스틱과 스티로폼 등 각종 생활 쓰레기가 조류와 파도에 밀려 항포구로 계속 유입됩니다.

하지만 항포구는 부잔교와 계류 중인 선박들 틈새로 쓰레기들이 모이기 때문에 사람이나 대형 수거 선박의 접근이 어려워 수거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상어처럼 생긴 로봇이 바다 위를 헤엄치며 돌아다닙니다.

마치 먹이를 잡아먹듯 곳곳에 떠다니는 해양쓰레기를 집어삼킵니다.

컨베이어로 수거된 쓰레기들은 뒷쪽에 연결된 그물망 안에 담깁니다.

선박들 사이 비좁은 틈새나 앞을 가로막는 장애물도 요리조리 잘 피해 다닙니다.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원격 조종과 자율 이동이 모두 가능한 해양 쓰레기 수거 무인 청소 로봇입니다.

1km 떨어진 곳에서 무선 원격 조종이 가능한 것은 물론, 위성항법장치인 GPS와 이동물체의 방향과 속도를 측정하는 IMU를 융합한 위치추적, 장애물 충돌방지 기능이 탑재돼 자율 이동이 가능합니다.

[하경남/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해양로봇센터 수석연구원 : "쓰레기가 밀집된 좁은 구역에서는 운영자가 원격 조종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구역에서는 스스로 GPS 기반의 항법시스템을 활용해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섬유 강화플라스틱 소재라 무게가 250kg으로 가벼우면서도 강하고, 초속 1~2m의 속도로 4~6시간 정도 운용이 가능합니다.

1톤 화물차에 실을 수 있어 이동 편의성도 높였습니다.

함께 개발을 추진한 충청남도는 이 청소 로봇을 섬 지역과 절벽, 동굴 같은 해양쓰레기 사각지대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장훈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박장훈 기자 (pjh@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