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8일 전투기 150대 무력시위' 군 당국, 알고도 왜 공개 안 했나

박성진 기자 2022. 10. 10. 21: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측 발표 후 합참서 인정
합참·국방부의 전략적 소통
제대로 작동 안 한다는 방증
북한 전투기들이 지난달 29일부터 보름간 진행된 전술핵운용부대 군사 훈련에서 편대를 구성해 비행 훈련을 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10일 전투기 150대를 동원해 공중 무력시위를 벌인 사실을 공개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8일 전투기 150대를 동원해 공중 무력시위를 벌인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군당국은 이를 공개하지 않아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의 전략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0일 “조선 동해에 재진입한 미 해군 항공모함을 포함한 해상련합기동훈련이 감행되고 있는 정세 배경하에서 사상 처음으로 150여대의 각종 전투기를 동시 출격시킨 조선인민군 공군의 대규모 항공 공격 종합훈련이 진행됐다”고 밝혔다.

통신은 “훈련에서는 공군사단, 련대별 전투비행사들의 지상목표 타격과 공중전 수행 능력을 판정하고 비행 지휘를 숙련하고 부대별 협동작전수행능력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신형 공중 무기체계들의 시험발사를 통하여 신뢰성을 검증했다”고 했다.

합참은 북한 발표 후에야 이를 인정했다.

북한 전투기 150대 비행이 지난 6일 비행과 달리 ‘특별감시선’ 이북에서 이뤄진 점을 고려해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는 북한이 6일 전투기 8대와 폭격기 4대로 특별감시선을 일부 남하해 벌인 무력시위의 10배가 넘는 규모라 설득력이 떨어진다.

150대 전투기 동시 출격은 위협적 도발이라는 점에서 국민들에게 알리는 게 맞다는 게 군 안팎의 평가다.

이 정도 대규모 도발이라면 국방부와 합참 관계자들이 대국민 발표나 설명 등을 포함한 대응책을 논의했어야 정상적인 시스템인데,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다.

당시는 군당국이 4일 현무-2 탄도미사일 낙탄 사고를 즉각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아 물의를 빚고 대국민 사과를 한 직후였다. 이는 군 내부에서조차 전략커뮤니케이션을 도외시한 채 합참과 국방부가 따로 놀았다는 방증으로 해석되는 부분이다.

북한 공군이 전투기 600여대를 보유했다고는 하지만, 실제 운용 가능한 수량은 이보다 적은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공군 전력을 총동원시킨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만큼 무력시위 효과의 극대화를 노린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의 대규모 공중 무력시위에 공군은 대응 비행과 비상대기전력 등의 조치에 나섰던 것으로 확인됐다. 군은 F-15K, KF-16뿐만 아니라 F-35A 스텔스 전투기도 출격시켰다고 전했다.

F-35A가 북한의 무력시위성 훈련에 출격 대응한 사실이 공개된 것은 지난 1월 이후 9개월 만에 처음이다.

박성진 기자 longriver@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