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토박이말/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2022. 10. 10.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순우리말인 줄 알았는데 한자어여서 당혹할 때가 있다.

'순우리말'과 '토박이말'조차 한자 순(純)과 토(土)를 달고 있다.

토박이말바라기 등 한글 단체와 국어교사모임 등 전국 100여개 단체들이 "토박이말을 새 국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넣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들 단체의 요구에 교육부는 순우리말 교육을 성취기준 일부나 해설, 고려사항 등으로 넣는 방안을 뒤늦게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순우리말인 줄 알았는데 한자어여서 당혹할 때가 있다. ‘무려’(無慮), ‘미안’(未安), ‘급기야’(及其也) 등 일상에서 무심코 쓰는 말인 경우 놀라움은 곱절이 된다. 거꾸로 한자어 같은데 순우리말인 사례도 적지 않다. ‘몽니’(받고자 하는 대우를 못 받을 때 내는 심술), ‘윤슬’(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 ‘모꼬지’(놀이나 잔치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 등이 대표적이다.

순우리말은 한자어와 외래어를 제외한 우리나라 고유어를 일컫는다. 토박이말, 토착어로도 불린다. 한데 한자어와 고유어의 구분은 사실 쉽지 않다. ‘순우리말’과 ‘토박이말’조차 한자 순(純)과 토(土)를 달고 있다. 그럼에도 선조의 얼과 문화가 담긴 아름다운 우리말을 가꾸고, 전승하는 것은 후손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책무임에 틀림없다.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가장 잘 드러내고, 널리 알린 인물로 손꼽히는 이는 시인 정지용이다. ‘넓은 벌 동쪽 끝으로/옛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얼룩백이 황소가/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으로 시작하는 대표작 ‘향수’(정지용 시전집, 애플북스)는 고향을 향한 사무치는 그리움을 오롯이 담은 절창이다. 뿐만 아니라 ‘지즐대는’(지줄대는), ‘해설피’, ‘함추름’ 등 우리말의 풍부한 묘미를 알게 해 준 보물 창고이다.

토박이말바라기 등 한글 단체와 국어교사모임 등 전국 100여개 단체들이 “토박이말을 새 국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넣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009년, 2011년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는 “다양한 고유어(토박이말)를 익히고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하지만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이 내용이 빠졌고, 최근 교육부가 공개한 2022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도 들어가지 않았다. 이들 단체의 요구에 교육부는 순우리말 교육을 성취기준 일부나 해설, 고려사항 등으로 넣는 방안을 뒤늦게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어제는 576돌 한글날이었다. 시대가 변하면 언중이 쓰는 말도 변한다. 외래어, 외국어 혼용은 점점 늘어나고 신조어나 축약어 등 사회 현상을 반영한 유행어의 확산도 불가피하다. 그렇다 해도 우리말을 제대로 알고, 지키려는 노력을 게을리해선 안 될 일이다.

이순녀 논설위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