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이번 주 두 번째 '빅스텝' 유력..대출금리 부담 가중

오원석 기자 2022. 10. 9. 18: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요즘 은행 빚 많은 분들, 어깨가 참 무거운데요. 금리가 여기서 더 올라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주 한국은행이 지난 7월에 이어 두 번째 빅스텝, 그러니까 기준금리를 지금보다 0.5%포인트 올릴 거란 분석이 많습니다. 이렇게 되면 처음으로, 5차례 연속 기준금리가 오르는 셈인데요.

오원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김 씨는 2년 전 아파트 사려고 마이너스 통장을 만들었습니다.

이른바 '영끌'족입니다.

당시 금리는 2%대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두 배 가까이 오른 5%대 후반입니다.

[김모 씨/변동금리 대출자 : 주택담보대출 올해 초에 받았고요. 마이너스통장 계좌 세 개 정도…]

그런데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한국은행이 이번 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5%p 올리는 이른바 '빅스텝'을 단행할 거란 전망이 많습니다.

결국 김 씨는 집을 내놨습니다.

[김모 씨/변동금리 대출자 : 물가가 오른 게 체감이 많이 되고요. 신용대출은 금리가 계속 올라서 대출 이자가 부담이 돼서 전세를 놨다가 집을 줄여서 살다가…]

기준금리가 계속 오르는 건 미국과의 격차를 좁혀야 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미국보다 0.75%p 낮습니다.

이같은 금리 역전 현상이 길어지면 외국 자본이, 가치가 올라간 달러 등을 찾아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원화 가치가 더 낮아져 현재 1400원을 훌쩍 넘은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가능성도 큽니다.

[문정희/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 이번 주 금통위에서는 50bp(0.5%p) 금리인상 가능성이 거의 확실시됐다고 봐야 될 것 같고요. 한·미 금리 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최근 국회에서 '0.25%p 인상 조건이 많이 바뀌었다'고 말하며 0.5%p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미국과의 금리 격차를 1%p에서 1.25%p 이상 더 벌어지지 않게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영상디자인 : 황수비)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