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엔 '고정 사업장' 안 짓던 구글.. 일본서 데이터센터 건설

이서희 2022. 10. 9. 1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구글이 내년 일본에 데이터센터를 연다.

구글은 그간 세금 회피 목적으로 한국에 데이터센터를 짓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아왔는데, 이번에도 한국이 아닌 일본을 택한 것이다.

구글이 일본에서 지속적인 투자 계획을 밝힌 것과 달리, 한국에는 구글의 데이터센터가 없다.

관련 업계에선 구글이 일본에 데이터센터를 짓게 된다면 인접국인 한국에 데이터센터를 지을 가능성은 더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피차이 CEO "내년 지바현에 오픈" 밝혀
한국 매출 수조원.. 사업장 없어 세금 적어
순다르 피차이(왼쪽) 구글 최고경영자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은 피차이 최고경영자가 일본 방문 후인 6일(현지시간) 자신의 블로그에 공개했다. 구글 제공

구글이 내년 일본에 데이터센터를 연다. 데이터센터는 수만 대 서버를 이용해 인터넷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 구글이 아시아에 새 데이터센터를 세우는 건 2013년 이후 처음이다. 구글은 그간 세금 회피 목적으로 한국에 데이터센터를 짓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아왔는데, 이번에도 한국이 아닌 일본을 택한 것이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6일(현지시간) 자신의 블로그에 일본 방문 사실을 전하며 "2023년 지바현 인자이(印西)시에 일본 첫 데이터센터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구글은 일본 기반시설 확충 등에 내년까지 7억3,000만 달러(약 1조400억 원)를 투자하겠다고 했는데, 데이터센터 건립은 이 계획의 일부다.

일본은 대만, 싱가포르에 이어 구글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는 세 번째 아시아 국가다. 피차이 CEO는 "새로운 시설은 구글 서비스 운영을 가속화하고 지역 경제 활동과 일자리를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번 방일 기간 동안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도 만나 투자 계획을 공유했다고 한다.

일본 지바현 인자이시에 내년 들어설 데이터센터 이미지. 구글 제공

구글이 일본에서 지속적인 투자 계획을 밝힌 것과 달리, 한국에는 구글의 데이터센터가 없다. 플레이스토어(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마켓), 유튜브, 지메일 등 구글의 주력 서비스는 모두 해외 서버를 통하고 있고, 별도 법인을 통해 운영 중인 클라우드(가상서버) 서비스의 경우 LG유플러스 데이터센터를 임차 형태로 이용한다. 이를 두고 인터넷 업계에선 구글이 막대한 세금을 피하기 위해 데이터센터를 두지 않는 것이란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구글은 국내에서만 수조 원대 매출을 올리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서버 같은 '고정 사업장'이 없다는 이유로 100억 원 미만의 법인세만 내고 있다.

구글은 이번 데이터센터 신설 계획을 발표하면서 아시아 국가 중에서도 왜 일본을 선택했는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다만 일본의 시장 규모가 한국보다 큰 데다, 그간 구글이 일본과 돈독한 관계를 이어온 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구글이 2001년 미국 외에 처음으로 사무실을 설립한 곳이 도쿄 시부야(渋谷)였다. 이 밖에도 구글은 일본과 캐나다를 잇는 해저 케이블 토파즈 건설에 참여하고 있다. 관련 업계에선 구글이 일본에 데이터센터를 짓게 된다면 인접국인 한국에 데이터센터를 지을 가능성은 더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실리콘밸리= 이서희 특파원 shle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