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비 촉진 운동' 농협중앙회 구내식당도 쌀 사용량 줄었네

황지윤 기자 2022. 10. 9. 15: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Biz 톡]

‘쌀의 날’(8월 18일)에 쌀 증정 행사를 열고, ‘가래떡 데이’(11월 11일)에 떡 이모티콘을 배포하는 등 전 국민 대상으로 쌀 소비 촉진 운동을 벌이는 농협이 실은 쌀 소비에 인색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최근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17~2021년) 농협중앙회 및 농협계열사 구내식당에서 쌀 소비량이 매년 주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하네요. 쌀 소비 촉진에 앞장서면서 정작 농협 직원의 쌀 소비는 줄어드니 ‘겉과 속이 다르다’는 것이 어 의원실의 주장입니다.

농협중앙회 구내식당의 2017년 쌀 소비량은 2만4160kg이었는데 작년 1만8100kg으로 25.1% 줄었습니다. 직원 수는 같은 기간 1075명에서 1115명으로 3.7% 증가했지만, 쌀 소비는 오히려 감소한 것이죠.

계열사인 NH농협은행도 직원 수가 2017년 1921명에서 작년 2336명으로 5년 새 21.6%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쌀 소비량은 1만9200kg에서 1만4400kg으로 되레 25% 줄었습니다. NH농협손해보험의 구내식당 쌀 소비량도 2017년 대비 약 40% 넘게 감소했다고 하네요.

어기구 의원은 “농민의 이익과 목소리를 대변해야 할 농협이 본분을 망각했다. 쌀 소비 촉진이라는 구호만 외칠 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쌀 소비를 어떻게 늘릴지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쌀 소비가 줄어드는 것은 농협만의 일은 아닙니다. 우리 국민들의 쌀 소비 자체가 해마다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17년 61.8kg에서 작년 56.9kg으로 7.9% 줄었습니다. 전 국민의 쌀 소비가 줄고 있는데, 농협 직원들이 구내식당에서 쌀밥을 덜 먹는다고 대놓고 비난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의원실의 지적은 겸허히 받아들여야겠지만, 농협 한 곳의 쌀 소비를 늘리기보다는 전 국민의 소비 트렌드를 바꿀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쌀 소비 촉진 아이디어를 내놓는 게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국민의 쌀 소비 경향이 바뀌면, 다른 곳을 포함해 농협 구내식당의 쌀 소비도 자연스럽게 늘어날 테니까요.

외식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지난달 15일 경기도 용인시청 구내식당에서 공무원들이 식사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연합뉴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