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춧값 급등에 중국산 김치 늘었다 - 국산으로 둔갑도

임상재 2022. 10. 8. 20:1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최근 물가가 급등하면서 국내 배춧값도 크게 올랐는데요.

그 여파로 중국산 김치 수입이 늘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김치의 원산지를 속여 팔다 적발되는 식당들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임상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서울의 한 고깃집.

반찬통 안에 배추김치가 담겨 있습니다.

배추는 '국내산'이라 적혀 있습니다.

하지만 버려진 김치 포장 상자를 보니 중국산입니다.

[식당 사장] "중국산이라고 깜빡 못 적은 거지. 새로 바꾸는 바람에."

김치찌개를 주로 파는 식당.

여기도 중국산 김치를 쓰면서 메뉴판엔 국내산이라 적었습니다.

[식당 사장] (배추김치인가요, 이거?) "네." (중국산 맞죠?) "네, 홀에서 쓰는 것만."

사장은 배춧값이 비싸 중국산으로 바꿨는데, 표시를 미처 못 바꿨다고 했습니다.

[식당 사장] (원산지 표시는 국산으로 해놨던데요?) "네. 왜냐하면, 다 국산 썼었거든요. 근데 물가가 너무 올라서. 너무 올랐어요."

원산지 표시가 아예 없는 곳도 있습니다.

[식당 사장] (직접 담그셨다면서요.) "아니, 표시가 없어." (뭐 표시가 없어요. 여기 중국이라고 돼 있구만. 이걸로 지금 김치찌개 끓이시는 거잖아요.) "예."

배춧값이 오르면서, 중국산 김치 수입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올해 8월까지 1억986만 달러, 작년보다 27%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김치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해 적발된 식당은 256곳, 아예 표시를 안한 곳은 122곳이었습니다.

중국산 김치는 눈으로도 국산과 구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도윤/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서울사무소 주무관] "국산 김치는 중국산 김치에 비해서 부재료와 김치 속이 더 많은 편입니다."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하면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MBC뉴스 임상재입니다.

영상편집 : 오유림/영상제공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편집 : 오유림/영상제공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임상재 기자 (limsj@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15215_35744.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