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 반도체 제재 전 韓과 사전 협의.."삼성·SK 불확실성 해소"

신건웅 기자 2022. 10. 8. 18: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정부가 중국 반도체 산업을 겨냥해 첨단 장비 등 기술 수출을 금지하기로 했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반도체 공장의 장비 공급에는 차질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정부가 미국과 사전 협의를 통해 중국 내에서 운영 중인 한국 공장의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장비 공급을 보장받았다.

산업부는 "중국에서 가동 중인 SK 우시공장, 삼성 시안공장 등은 중국 기업과는 달리 '사안별 검토대상'으로 분류돼 장비 공급에 큰 지장은 없을 전망"이라고 기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사전협의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 장비 반입 보장받아
중장기적으로 中과 기술 격차 벌릴 기회될 듯
삼성전자 중국 시안 반도체공장. (삼성전자 제공)

(서울=뉴스1) 신건웅 기자 = 미국 정부가 중국 반도체 산업을 겨냥해 첨단 장비 등 기술 수출을 금지하기로 했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반도체 공장의 장비 공급에는 차질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정부가 미국과 사전 협의를 통해 중국 내에서 운영 중인 한국 공장의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장비 공급을 보장받았다.

업계에서는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오히려 중장기적으로 중국 업체들과의 기술격차를 더 벌릴 기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7일(현지시간) 미국의 첨단반도체 제품과 기술에 대한 대중(對中) 접근 제한 조치 2건을 발표했다.

인공지능(AI)과 슈퍼컴퓨터에 쓰이는 반도체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고 중국 반도체 생산기업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는 수출통제 조치다.

이번 조치를 통해 미국 기업의 △18㎚(나노미터) 이하 D램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핀펫(FinFET) 또는 가펫(GAAFET) 등 비평면 트랜지스터 구조의 16나노미터 로직 반도체 혹은 14나노미터 이하 로직 반도체 기술 및 생산 장비의 대중 수출이 통제된다.

다만 외국 기업은 개별 심사를 통해 슈퍼컴퓨터 등 첨단기술 연구개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조건에 해당하는 장비·부품 교체를 위한 수출은 허용될 전망이다.

이번 조치로 중국 사업 비중이 높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한숨 돌리게 됐다. 컨설팅업체 욜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낸드플래시의 38%를, SK하이닉스는 D램 50%와 낸드 25%를 중국에서 생산한다. 장비 반입이 완전히 막히면 중국 사업이 어려워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다행히 개별 심사를 도입하면서 장비 반입 등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가 미국과 협의를 통해 현재 중국 내에서 운영 중인 한국 공장의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필요 장비의 안정적 공급을 보장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중국에서 가동 중인 SK 우시공장, 삼성 시안공장 등은 중국 기업과는 달리 '사안별 검토대상'으로 분류돼 장비 공급에 큰 지장은 없을 전망"이라고 기대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도 "정부가 그동안 업계와 긴밀히 협의해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국과 협의해 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직 남은 과제는 양국 정부가 건설적인 결론을 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은 각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중국 공장이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 역시 "현재 중국에서 운영 중인 공장에 대한 장비공급은 당장은 큰 지장이 없어 보인다"며 "일부 우려는 있지만 우리 정부의 노력으로 불확실성이 상당부분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이번 규제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에 중장기적으로 유리할 것이라고 분석도 나온다. 중국 반도체 업체와 기술 격차를 벌일 수 있는 기회라는 것이다.

특히 2016년 설립된 낸드 플래시 제조업체 YMTC(창장춘추)에 직격탄을 날릴 것으로 봤다. 중국 반도체 핵심기업들의 미국산 기술·장비 수입이 완전히 막히는 셈이기 때문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워싱턴무역관은 "장기적으로 중국 업체가 고전하는 사이 TSMC와 삼성전자 등 기존 선두업체들이 기술격차를 더 벌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ke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