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대학에서 석사과정뿐 아니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첨단 분야 학사 학위를 100% 온라인으로 취득할 수 있게 된다. 7일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아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과정’ 관련 훈령을 일부 개정하고 해당 제도를 활용할 대학 선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조선DB
지금까지는 원격대학(사이버대학)이 아닌 일반 대학은 교육부 승인을 받아야 외국 대학과 공동으로 온라인 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할 수 있었다. 석사과정은 지난해 2월 제도를 만들어 국내 대학 공동이나 단독으로 온라인 학위 과정을 운영할 수 있게 한 바 있다. 이에 국민대 인공지능응용 전공, 고려대 세종캠퍼스 개발정책학과 등 5개 대학에서 온라인 석사 학위 과정을 운영 중이다.
교육부는 이번 훈령 개정으로 AI, 핀테크, 미래 자동차 등 21개 첨단 분야는 국내 대학이 단독으로 온라인 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국내 대학 간 공동 운영도 가능해진다. 대학에서는 온라인 코딩 실습, 인공지능(AI) 부정 방지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시험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활용해 수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번 훈령으로 운영 가능해진 첨단 분야 온라인 학사 학위 과정은 2023년 상반기 별도 심사를 거쳐 2024학년도부터 운영을 시작한다. 신문규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은 “온라인 학위 과정 개선을 통해 첨단 분야 교육 혁신이 가속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