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모호한 상태로 사는 것에 대하여

2022. 10. 7. 22: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는 지금 어떤 질서에 속해 있나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사람들
불안해하고 혼란스러워하지만
모호하게 살아가는 것도 삶 방식

16세기 초반에 기록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미완성 동굴탐험’(Fragment of Speleology)에 따르면, 깜깜한 동굴을 처음 들어설 때면 누구나 강렬한 느낌에 사로잡힌다고 한다. 그 느낌은 두 종류인데, 하나는 어둠으로 인해 위축되는 두려움이고 다른 하나는 어둠이 감추고 있는 것들을 캐내어 밝혀내고 싶은 갈망이다. 동굴은 어둠 속에 무엇이 잠복하고 있는지 알 수 없으므로 두렵게 하고, 나와 주변이 모호하게 섞인 혼돈의 상태이기 때문에 어서 명확하게 밝히고 싶게 한다.

룰루 밀러의 과학적 모험담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와 부지영 감독이 제작한 ‘지금, 이대로가 좋아요’는 얼마 전에 읽은 책과 본 영화이다. 계획 없이 내키는 대로 고른 것인데, 우연히 서로 만나는 지점이 있어 놀라웠다. 아니 어쩌면 지금 내가 글을 쓰기 위해 두 작품 간의 연결고리를 만들고 있는지도 모른다. 일단 두 작품 모두 혼돈 상태에 빠진 젊은 여성이 주인공이라는 점, 그리고 긴장감 없이 잔잔하게 내용이 전개되다가 끝 무렵에 커다란 반전이 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이주은 건국대 교수·미술사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에는 분류학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잠시 인생의 방향을 잃게 된 룰루 밀러는 구원의 빛줄기를 찾아 헤매던 중 19세기의 분류학자 데이비드 조던에 대해 알아가게 된다. 조던은 뭐라고 명명할 수 없이 뒤엉켜 있는 자연에 질서를 만드는 일을 했던 자다. 발견한 생명체에 이름을 붙이고, 유사한 것끼리는 묶고 다른 집단과는 구획을 지으며, 위계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 밀러는 삶에도 숨어있는 질서가 있으리라 믿고 분류학에서 영감을 얻어 돌파구를 모색한다.

영화 ‘지금, 이대로가 좋아요’는 주인공 명은(신민아 분)이 어머니의 죽음을 계기로 생면부지의 아버지를 만나러 언니와 여행하는 이야기이다. 자신이 태어나자마자 어디론가 자취를 감추어버렸다는 아버지를 명은은 용서할 수가 없다. 똑똑한 그녀가 기대하는 가족이란 혈연으로 맺어진 친밀한 집단이어야 하며, 아버지, 어머니, 자식이라는 이름에 어울리게 저마다의 역할을 하는 이상적인 모습이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가족이라고는 반쪽뿐인 혈연인 데다가 무식하고 전혀 마음이 통하지 않는 언니와 ‘이모’라고 부르는 엄마의 옛 친구뿐이다. 정식으로 ‘가족’이라고 분류된 집단의 질서 속에서 살고 싶은 명은에게, 아버지를 만나는 것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일이기도 했다.

나를 안다는 것은 내가 어디에 무엇으로 분류되었는지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아직 이것 또는 저것으로 확정되지 않은 채 이것도 될 수 있고 저것도 될 수 있는 잠재성의 범주 안에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런 상태에 있을 때 사람들은,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와 ‘지금, 이대로가 좋아요’의 주인공들이 그랬듯, 불안해한다. 스스로 혼란스럽다고 느끼기 때문에, 질서를 갈망하기도 한다.

식물은 식물끼리, 동물은 동물끼리 종, 속, 과, 목, 강, 문, 계 등으로 묶는 방식은 18세기 이래로 학문체계를 이루는 바탕이 되어 있다. 박물관이나 도서관 분류체계의 기본이기도 하다. 그런데, 연상작용이 풍부한 사람이라면 모호한 것들도 하나로 묶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바라기, 사자, 루비, 8월은 어떨까? 루비는 새빨갛게 타오르는 색이고, 8월의 태양은 강렬하며, 그때 태어난 아이의 별자리는 사자자리다. 해바라기는 한여름에 피며, 햇빛을 향해 얼굴을 내미는 꽃이다. 모두 뜨거운 속성을 가진 것들이니, 동종이 아니겠는가.

동종끼리는 서로 통하지만, 그 관계성에 이름을 붙일 수 없을 수도 있다. 곁에 있지만 명칭이 없기에 서로 아무도 아닌 존재로 이해될 수도 있고, 불확실한 상태로 살아가기도 한다. 우리는 모호한 것들을 무질서한 미분류 상태라고 부른다. 하지만, 아직 분류되지 않았을 뿐이지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이주은 건국대 교수·미술사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