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간브리핑] 외환보유고가 녹아내린다..원화값 방어에 '197억 달러' 감소

SBSBiz 2022. 10. 7. 07:4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와이드 모닝벨 '조간 브리핑' - 장연재

조간브리핑입니다.

◇ 원화값 방어하느라… 외환보유액 한달 새 197억달러 감소

중앙일보 기사입니다.

9월 말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167억 7,000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한 달 사이에 196억 6,0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27조 7,200억 원 감소했는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의 감소 폭입니다.

외환보유액이 이렇게 줄어든 건 외환 당국이 환율 안정을 위해 보유한 달러를 시장에 내다 팔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위기 때 사용할 수 있는 나라의 달러 곳간이 비어가며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뿐 아니라 국내총생산의 37%에 이르는 대외자산도 갖고 있다"며 "현재 외환보유액은 충분하다"고 설명했습니다.

◇ 최고등급 한전채, 금뢰 5% '기현상'

매일경제 기사입니다.

한국전력의 올해 영업적자가 최대 40조 원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이 회사의 채권 발행금리가 연 5% 중반까지 치솟았습니다. 

한전채 발행금리는 최상위 신용등급으로 사실상 시장에서 국채와 같은 대접을 받는데요.

금리가 5% 중반까지 오른 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25년 만의 일입니다.

한전은 급증하는 적자를 메우기 위해 예상을 뛰어넘는 채권 물량을 쏟아냈습니다.

하지만 기관들이 외면하자 발행금리가 더 높아졌고 재무 부담이 커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한전 입장에서는 높은 금리 부담까지 짊어지게 된 상황인데요. 

이런 가운데 투자처 물색에 나선 현금 부자들은 고금리 회사채에 대한 투자 기회로 보고 매수에 적극 나서는 분위기입니다.

◇ 수출 늘어난 현대차 국내 출고는 더 늦어져

한국경제 기사입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국내 시장보다는 해외시장에 초점을 맞추면서, 국내 차량 출고가 더 늦어졌다는 소식입니다. 

현대차의 국내 생산량 중 수출된 물량 비중은 최근 2년간 빠르게 커져, 올 1~8월에는 60%에 육박했습니다. 

기아도 올해 62.4%로 2년 전보다 7% 포인트 가량 올랐습니다. 

반도체 부족이 장기화되자 수출용 차량 생산 비중을 확대해서 현지 점유율을 높이고, 환차익을 통해 짭짤한 수익을 얻고 있는데요.

덕분에 현대차·기아는 글로벌 시장에서 역대 최고 점유율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소비자들은 이 때문에 ‘출고 대란’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국 소비자들은 GV80을 받으려면 계약 후 2년 6개월을 기다려야 한다는데요. 

반도체 대란 초기보다 오히려 대기기간이 더 길어졌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습니다.

◇ 카톡 이모티콘도 멜론 이용권도… 애플이 부른 '콘'플레이션

경향신문 기사입니다.

애플은 강달러 현상이 지속되자 애플 결제 단위인 1티어 기준 1,200원이던 요금을 1,500원으로 25%가량 올렸습니다.

원화 가치가 떨어져 달러 표시로는 손해를 본다는 이유에서인데요. 

이에 따라 카카오는 이날부터 애플 인앱결제로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구매하는 단품 가격을 지금보다 500원 오른 3,000원으로 인상했고요

국내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1위 업체인 멜론도 애플 인앱결제를 할 경우 ‘기간 한정 스트리밍 이용권’ 가격을 1,000원 인상했습니다.

게임업계도 애플 인앱결제 가격 인상에 따른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는데요. 

콘텐츠 업계는 구글·애플 등 해외 앱마켓이 콘텐츠 인플레이션을 주도하고 있을 뿐 아니라 막강한 영향력으로 국내 콘텐츠 산업을 잠식해가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 창고형 할인점 3파전… 고물가에 '후끈'

최근 국내 대형마트 업계가 코스트코 같은 '창고형 할인점' 매장을 확대하고 나섰습니다.

시장 1위인 미국계 기업 코스트코의 아성을 무너뜨리는 동시에 오프라인 유통 판매에서 틈새시장을 노려보겠다는 전략입니다. 

롯데마트와 이마트 양사는 유료 멤버십 서비스를 내놓거나 폐지하면서 신규 고객 모시기에도 한창인데요. 

롯데마트는 1분기에만 매장 4곳을 새단장해 문을 열었고 이마트 트레이더스도 지점을 올해 21개로 10년 만에 3배까지 늘렸습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