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단의 땅' 송현동 부지 개방 ..광장에 몰려든 시민들 "예쁘다"

2022. 10. 6. 22: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사대문 안 도심 한복판에 있지만, 한 세기가 바뀌는 동안 '금단의 땅'으로 남아 있던 '송현동 부지'가 7일 시민에게 개방된다.

광장 앞에서 만난 이광구 서울시 개발정책팀장은 "(얼마 전) 입구를 막고 있어도 시민이 자꾸 들어와서 '나가셔야 한다'고 안내한 적도 있다"며 웃었다.

서울광장의 3배에 달하는 규모(3만7천117㎡)인 이 부지는 경복궁과 거의 붙어있다시피 한데도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일반인이 들어갈 수 없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 인근 송현동 부지에 마련된 열린송현 녹지광장에서 외국인 관광객, 시민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서울시는 '이건희 기증관' 건립이 본격적으로 착수되기 전인 2024년 상반기까지 3만6천642㎡ 규모의 송현동 부지 전체를 열린녹지광장으로 재조성해 시민들에게 개방한다. [연합]

[헤럴드경제=이명수 기자] 서울 사대문 안 도심 한복판에 있지만, 한 세기가 바뀌는 동안 '금단의 땅'으로 남아 있던 '송현동 부지'가 7일 시민에게 개방된다.

'열린송현녹지광장'으로 단장해 공식 개방을 하루 앞둔 6일 서울시가 청소 등 준비를 하려고 잠시 문을 열자 금세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그동안 4m 높이 담장으로 가로막혀 내부가 보이지도 않던 곳에 갑자기 드넓은 광장이 나타나자 놀라는 모습이었다.

광장 앞에서 만난 이광구 서울시 개발정책팀장은 "(얼마 전) 입구를 막고 있어도 시민이 자꾸 들어와서 '나가셔야 한다'고 안내한 적도 있다"며 웃었다.

6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 인근 송현동 부지에 마련된 열린송현 녹지광장에서 시민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연합]

서울광장의 3배에 달하는 규모(3만7천117㎡)인 이 부지는 경복궁과 거의 붙어있다시피 한데도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일반인이 들어갈 수 없었다.

1910년 일제강점기 식민자본인 조선식산은행 사택이 들어서며 담이 쌓였고, 광복 후에는 1997년까지 주한미국대사관 직원 숙소로 쓰였다. 이후 소유권이 한국 정부에서 삼성생명으로, 다시 대한항공으로 넘어가며 20여 년간 방치되다 서울시가 2020년 6월 공원화 계획을 발표한 뒤 우여곡절 끝에 다시 공공 부지로 돌아왔다.

시는 부지 전체를 둘러싸고 있던 4m 높이 장벽을 1.2m 돌담으로 낮췄다. 성인이라면 한눈에 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 높이다. 가운데에는 1만㎡ 넓이 잔디 광장을 만들고, 주변에 코스모스와 백일홍 등 야생화도 심었다.

안국역 방면에서 광장으로 들어서면 오른편으로 가득 피어있는 가을꽃을 마주하게 된다. 주변 경복궁이나 북촌, 인사동을 오가던 시민들이 꽃밭 사잇길로 잇따라 들어서며 "예쁘다"를 연발했다. 처음 들어와 본 곳에서 가을 정취 가득한 풍경을 만나자 곳곳에서 사진 찍기에 바빴다.

친구와 함께 이곳을 찾은 남서현(18) 씨는 "국립현대미술관으로 가려고 들어왔다가 이쪽으로 오게 됐다"며 "길이 예뻐서 자주 찾을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

잔디광장에는 커다란 달 모형 풍선과 그보다 작은 노란 달 풍선이 여러 개 놓여있다. 포토존으로 쓰이도록 서울시가 설치해, 한 달여간 놔두는 조형물이다.

이 팀장은 '송현보름달'이라고 소개하며 "광장을 완성했다는 의미로 작은 달을 40여 개, 큰 달을 하나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 송현동 광장을 약 2년간 임시 개방하고 이후 문을 닫는다. 광장 동쪽 9천700여㎡ 부지에 '이건희 기증관'이 건립되고, 서울시는 이 기증관을 중심으로 '송현문화공원'을 꾸민다.

이 팀장은 "시민께 이곳을 빨리 돌려드리려 임시로라도 먼저 개방했다"며 "2년간 이곳을 거닐며 어떤 공간으로 쓰이면 좋을지 나름대로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증관이 들어설 부지 한쪽에는 2층짜리 작은 건물이 아직 남아있다. 개인 소유 토지로, 매수 협의에 난항을 겪었다고 한다. 시는 불가피한 경우 토지보상법에 따라 공익사업 용지로 협의 없이 수용할 수 있지만, 공원 설계에 들어갈 2년간 지속해서 협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husn7@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