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스트리트] OPEC+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1960년 결성됐다.
셰일혁명으로 미국이 최대 산유국이 된 데다 러시아, 멕시코,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같은 비OPEC 산유국이 등장하면서다.
이후 OPEC과 비OPEC 산유국들이 모여 공급량 조절을 담합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비엔나그룹으로 불리는 산유국 협의체 'OPEC+'가 출현한 배경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0년대 후반부터 OPEC의 카르텔 효과는 약화됐다. 셰일혁명으로 미국이 최대 산유국이 된 데다 러시아, 멕시코,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같은 비OPEC 산유국이 등장하면서다. 이후 OPEC과 비OPEC 산유국들이 모여 공급량 조절을 담합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비엔나그룹으로 불리는 산유국 협의체 'OPEC+'가 출현한 배경이다.
OPEC+의 두 주축인 사우디와 러시아가 최근 손잡고 석유감산에 나설 태세다. 최근 국제유가가 급락할 기미를 보이자 함께 방어에 나선 것이다. 유가하락이 미국의 잇단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강세에 기인한다고 보면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불붙은 글로벌 에너지전쟁에 근래 미국과 척을 진 사우디까지 참전한 셈이다.
이번 에너지대전의 특징적 양상은 '킹달러 대 고유가'로 압축된다. 기축통화국(미국)과 OPEC+의 힘겨루기가 본질이란 뜻이다.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은 OPEC+가 원유생산량을 하루 200만배럴 줄이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거론되는 이유다.
대규모 감산이 이뤄지면 산유국이 아닌 나라들에 유탄이 집중되기 마련이다. 한국은 무역의존도가 높은 데다 석유수입 비중도 커 '강달러'와 고유가 모두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고유가가 현실화하면 국내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게 뻔하다. 가뜩이나 무역적자가 커지고 있는 한국 경제에는 이중고다. 정부와 기업, 가계 등 모든 경제주체가 최악의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미리 면밀한 대응 시나리오를 완비할 때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진호, 故김새론 절친 녹취록 공개 "사망 원인은 남편 폭행·협박"
- 이혼전 한집살이…최여진, 돌싱 남편 논란 왜?
- "남편이 옷 속으로 손을" 밖에서 달려드는 남편..."이혼하고 싶어요"
- 가평 풀빌라 화재…30대 남성 직원 숨진 채 발견(종합)
- 김수현 양다리 해명…서예지, 8년만 예능 출연
- "전 여친과 쓰던 침대, 신혼집서 쓰자"는 예비신랑, 이해되나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 양준혁, 아내 출산 석달 만에 둘째 계획 "야구 시킬 것"
- 설리 오빠, 사흘째 김수현 저격 "모두 리얼"
- '5월 재혼' 서정희 "유방암약 부작용…여성호르몬 안 생겨"
- "눈 떠보니 알몸"…대리기사, 손님 성폭행·불법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