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北, '섞어쏘기'로 타격 연습..새로운 장소에서 2종 단거리 발사

변혜정 2022. 10. 6. 16: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새로운 장소에서 2종의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을 섞어 쏜 것은 유사시 실전 상황에 대비하고 한미 요격 및 대응체계를 무력화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북한은 6일 오전 6시 1분께부터 6시 23분께까지 평양 삼석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SRBM 2발을 발사했는데요.

북한은 통상적 행태에 변주를 둠으로써 유사시 실전에서 평소와 다른 방식으로 미사일을 쏘는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북한이 새로운 장소에서 2종의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을 섞어 쏜 것은 유사시 실전 상황에 대비하고 한미 요격 및 대응체계를 무력화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북한은 6일 오전 6시 1분께부터 6시 23분께까지 평양 삼석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SRBM 2발을 발사했는데요.

비행거리 350여㎞, 고도 80여㎞, 속도 약 마하 5(음속 5배)를 기록한 첫 미사일은 초대형 방사포(KN-25)로, 비행거리 800여㎞, 고도 60여㎞, 속도 약 마하 6으로 탐지된 두 번째 미사일은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로 각각 추정되고 있습니다.

두 미사일은 북한이 SRBM 표적으로 자주 쓰는 함북 길주군 앞바다의 무인도 '알섬'이 아닌 동해상 동북쪽으로 날아간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발사 장소로 삼석구역이 등장하기는 이번이 처음이고, KN-23과 KN-25를 섞어 쏜 것과 표적을 알섬이 아닌 다른 장소를 선택한 것도 이례적입니다.

북한은 통상적 행태에 변주를 둠으로써 유사시 실전에서 평소와 다른 방식으로 미사일을 쏘는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삼석구역은 평소 북한이 평양에서 미사일 발사 장소로 주로 택한 순안비행장에서 동쪽으로 떨어져 있고, 대성구역 등 평양 주요 도심부와는 다소 거리가 있으며 평양방어사령부가 있는 구역입니다.

영상으로 보시죠.

<제작: 왕지웅·변혜정>

<영상: 연합뉴스TV·로이터·구글 어스·미 국방부 영상정보배포시스템>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