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오류' 차세대 복지시스템 개발 LG CNS 대표 "책임 통감한다"

임종윤 기자 2022. 10. 6. 16:3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지난달 개통 후 계속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개발업체인 LG CNS의 대표가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공개 사과했습니다.

김영섭 LG CNS 대표이사는 오늘(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 "당초 예상과 달리 (시스템) 개통 후에 오류가 다량 발생해 많은 국민께 심려 끼치고 고통을 안겨드렸다. 책임을 통감하고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습니다.

LG CNS는 한국정보기술, VTW 등 2개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1천200억원이 투입된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개발 사업을 수행했으며 지분율이 50%로 가장 많아 컨소시엄 대표사입니다.

김 대표는 이번 시스템 오류에 대해 "여러 복합적 원인이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사업단이 조금 더 철저하게 준비하고 테스트했어야 하는데 상당히 미흡했다는 것"이라며 "다만 긴 프로젝트 과정에서 IT 소프트웨어 인력이 부족했고 코로나19로 인한 인력 이탈 등이 있었다는 점은 양해해달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10월 중 시스템이 대부분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시스템 개통 1주일 전 암 판정을 받은 차상위 의료지원 대상이 시스템 오류로 인해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하고 있는 사례에 대해 "저희 잘못인 것이 확인되면 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의료비 지원은 시스템상 소급적용이 되지 않아 해당 사례자의 경우 별도의 구제책이 없으면 차상위 의료지원 선정 이전 의료비를 지원받을 수 없습니다.

조 장관은 전날 급여 지급 지연에 대해 "소급 적용은 당연하고, 손해배상도 검토해보겠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