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온 낯선 국제우편에 마약이.. 진짜 수취인은 누구?

오재용 기자 2022. 10. 6. 16: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SD 성분이 검출된 스티커가 담겼던 편지 봉투. /제주경찰청

최근 제주지역 한 가정집에 신종 마약이 들어있는 국제우편이 배송되면서 경찰이 실제 수취자를 찾기 위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

6일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제주출장소가 지난달 28일 경찰에 신고된 탄저균 의심 우편물을 정밀 분석한 결과, 동봉돼 있던 밴드 모양 스티커에서 향정신성의약품인 LSD(Lysergic Acid Diethylamide) 성분이 나왔다. LSD는 강력한 환각제로 보통 우표와 같은 형태의 종이에 그림으로 인쇄돼 판매된다. 제주에서 LSD 적발은 물론 우편을 통한 마약 유통 또한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송된 이 우편물은 지난달 중순쯤 제주시 조천읍 주민 A씨 자택에 국제우편으로 배송됐다.

봉투 겉면에는 A씨 자택 주소와 함께 수신자로 A씨 이름이 적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또 발신자 이름도 적혀 있었지만, 발송지에 실제 거주하는 인물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당시 거동이 어려운 A씨를 대신해 지인 B씨가 우편함에 쌓여있던 우편물을 확인하던 중 발견했다. B씨는 “미국에 아무런 연고가 없다”는 A씨 말에 과거 언론보도에서 접한 미국발 탄저균 동봉 편지를 떠올리고 제주동부경찰서 함덕파출소를 찾아와 신고했다.

경찰은 현재 수신자인 A씨가 LSD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것으로 보고 우편물이 어떻게 A씨의 집으로 배송됐는지 등 유통 경로를 캐는데 집중하고 있다. 경찰은 A씨가 수신자로 적힌 우편물이지만 누군가 A씨 주소를 이용해 LSD를 받으려고 했던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A씨가 평소 몸이 불편해 자주 우편물을 확인하지 못하는 상황을 이용했다는 것이다.

실제 인천에 사는 20대 C씨는 지난해 6월부터 8월까지 타인의 주소지로 마약류를 해외에서 배송받아 판매하다가 인천세관에 덜미를 잡혔다.

그는 주거지 근처 아파트와 상가에서 날짜가 지난 우편물이 많이 쌓인 우편함 19곳을 파악해 수취인 이름과 주소지를 도용하고 마약류가 든 우편물이 도착하면 몰래 빼내가는 수법을 사용했다.

또 인천 지역 30대 택배기사 D씨는 자신이 배송했던 곳 중 직접 택배를 수령하지 않는 고객 주소와 이름을 도용해 마약류를 밀수입하다 지난 4월 세관에 적발되기도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