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산불 탓에 영덕·울진産 송이 맛보기 어려워졌다

손대성 2022. 10. 6. 16: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대형 산불이 난 경북 영덕과 울진의 송이 작황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산림조합에 따르면 송이가 나기 시작한 올해 9월부터 이달 5일까지 산림조합을 통해 거래된 송이 공판 물량은 영덕 1만51.57㎏, 울진 2천892.58㎏이다.

지난해 같은 시기에 영덕에선 올해의 2배에 이르는 2만599.72㎏, 울진에선 올해의 3배에 이르는 1만80.3㎏의 송이가 거래됐다.

올해 이 같은 작황 부진은 영덕과 울진의 송이 산지에 산불이 난 것이 한 원인으로 꼽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황 부진으로 거래량 크게 줄고 가격은 올라
채취량 줄어 가격 오르는 송이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5일 서울 한 재래시장에 최근 채취량이 줄어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송이버섯이 진열돼 있다. 2022.10.5 scape@yna.co.kr

(영덕·울진=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올해 대형 산불이 난 경북 영덕과 울진의 송이 작황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산림조합에 따르면 송이가 나기 시작한 올해 9월부터 이달 5일까지 산림조합을 통해 거래된 송이 공판 물량은 영덕 1만51.57㎏, 울진 2천892.58㎏이다.

지난해 같은 시기에 영덕에선 올해의 2배에 이르는 2만599.72㎏, 울진에선 올해의 3배에 이르는 1만80.3㎏의 송이가 거래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물량이 줄어든 반면 송이 공판가는 올랐다.

1등급 1㎏ 기준으로 올해 10월 5일 공판가는 영덕 85만1천원, 울진 87만1천100원이다.

지난해 같은 날 공판가는 영덕 56만2천700원, 울진 53만1천200원이었다.

9월부터 10월 5일까지 산림조합을 통해 거래된 송이 물량만 따지면 울진지역의 경우 최근 5년 사이 올해가 가장 적었다.

송이가 풍작을 이뤘던 2018년엔 1만5천45.83㎏으로 올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았고 작황이 부진했던 2019년에도 5천99.62㎏으로 올해보다는 많았다.

영덕지역은 2019년에 6천865.24㎏으로 올해보다 적었을 뿐 나머지 해에는 올해보다 훨씬 많았다.

영덕 공판 물량은 2018년엔 4만887.2㎏, 2020년엔 1만4천878.04㎏이었다.

올해 이 같은 작황 부진은 영덕과 울진의 송이 산지에 산불이 난 것이 한 원인으로 꼽힌다.

국내 대표 송이 산지인 영덕에서는 올해 2월 15일부터 17일까지 지품면과 영덕읍 일대에 산불이 나 400여㏊의 산림이 탔다.

울진에서는 올해 3월 4일부터 13일까지 북면, 죽변면, 울진읍, 금강송면 등에서 산불이 나 1만4천140.01㏊가 탔다.

송이 채취 농업인은 산불이 난 지역에서 주로 소나무가 많이 타면서 소나무 주변에 나는 송이가 악영향을 받은 것으로 본다.

지난해 영덕에서 수매된 송이는 2만8천190㎏으로 전국 수매 물량 10만2천193㎏의 약 30%, 울진에서 수매된 송이는 1만2천159㎏으로 약 10%를 차지했다.

온 힘을 다해 불 끄는 소방관 (울진=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5일 경북 울진군 울진읍 온정2리 마을로 산불이 확산하자 소방관들이 온 힘을 다해 불을 끄고 있다. 2022.3.5 sds123@yna.co.kr
"저쪽에 뿌려주세요" (울진=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지난 3월 5일 경북 울진군 울진읍 온정2리 마을로 산불이 확산하자 소방관이 불을 끄고 있다. 2022.3.5 sds123@yna.co.kr
다시 힘내서 출동 (울진=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지난 3월 8일 경북 울진군 북면 덕구저수지에서 산불진화헬기가 불을 끄기 위해 물을 보충하고 있다. 2022.3.8 sds123@yna.co.kr

sds123@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