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완 "산울림 음악, 우리 형제 손 떠난지 오래"

이다겸 2022. 10. 6. 15: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그룹 산울림 멤버 김창완이 리마스터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를 밝혔다.

이날 김창완은 리마스터 프로젝트를 하게 된 이유에 대해 "판권과 저작권 소유권에 관해서 긴 분쟁의 시간이 있었다. 10여년 만에 대법원 판결을 받아서 모든 것이 일사천리로 진행될 수 있었다. '그래 해보자'라는 마음을 갖게 된 것은 가요사에 남은 족적일 수 있으니 해보자고 해서 하게 됐다. 산울림 노래가 제 형제들 것만이 아니고, 그래서 남겨놓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었다"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룹 산울림 멤버 김창완이 리마스터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를 밝혔다.

6일 오후 2시 서울 마포구 망원동 벨로주에서 산울림 리마스터 프로젝트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김창완은 리마스터 프로젝트를 하게 된 이유에 대해 “판권과 저작권 소유권에 관해서 긴 분쟁의 시간이 있었다. 10여년 만에 대법원 판결을 받아서 모든 것이 일사천리로 진행될 수 있었다. ‘그래 해보자’라는 마음을 갖게 된 것은 가요사에 남은 족적일 수 있으니 해보자고 해서 하게 됐다. 산울림 노래가 제 형제들 것만이 아니고, 그래서 남겨놓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었다”라고 말했다.

또 산울림 음악이 아직까지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 비결에 대해서는 “생명력이라는 것은 적응력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여러가지 가설 중 균형을 맞춘다거나 밸런스를 맞춘다는 것을 광범위한 생명으로 본다는 가이아 가설이 있다. 그런 측면에서 산울림 음악은 저희 형제의 손을 떠났다고 본다. 막내가 2008년 세상을 떠나면서 산울림 음악이 단절됐다. 그런데 산울림 팬클럽을 보면 젊은 분들도 많이 가입한다. 그렇게 본다면 산울림 음악이 시대의 변화에 잘 적응하고 있지 않나 싶다”라고 밝혔다.

한편 산울림은 1977년 데뷔 음반 '아니 벌써'를 시작으로 1997년 '무지개'에 이르기까지 20년 동안 정규 앨범 13장과 동요 앨범 4장 등 17장의 스튜디오 앨범을 발표했다. 이번 산울림 리마스터 프로젝트를 통해 정규 음반 17장과 김창완의 솔로 앨범 3장 등 총 20장이 순차적으로 LP와 디지털 음원으로 재발매된다.

[이다겸 스타투데이 기자]

사진l뮤직버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스타투데이.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