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버넌스워치]한일시멘트 3세 허정규家 먹는장사..'흑자가 뭐예요?'

신성우 2022. 10. 6. 07: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견 한일시멘트그룹 3세인 허정규(31·미국명 허제이정)씨가 레저 분야의 주력사 서울랜드의 경영 참여를 계기로 '먹는장사'에 본격적으로 발을 담글 것으로 보임에 따라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거리다.

'[거버넌스워치] 한일시멘트 ①편'에서 기술한 대로, ㈜차우가 최근 그룹 주력사인 한일시멘트 주식 약 5억원어치를 장내 매입, 주주(지분0.06%)로 등장한 것도 어찌 보면 이와 무관치 않다고 볼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일시멘트③
부친 허남섭 명예회장 일가 차우․세우리 소유
서울랜드 식당·카페 등 운영..수년째 영업적자

중견 한일시멘트그룹 3세인 허정규(31·미국명 허제이정)씨가 레저 분야의 주력사 서울랜드의 경영 참여를 계기로 ‘먹는장사’에 본격적으로 발을 담글 것으로 보임에 따라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거리다.  

여건은 녹록치 않다. 앞서 ‘[거버넌스워치] 한일시멘트 ②편’에서 언급한 부친 허남섭(71) 명예회장 일가가 주도해 온 외식업체들의 벌이가 지금껏 영 시원찮아서다. 수치가 증명한다. 

‘먹는장사’로 영 재미 못보는 4남家

㈜차우 및 세우리는 한일시멘트 계열의 경기 과천의 테마파크 서울랜드 내의 식당 및 카페 등을 운영하는 곳이다. 먼저 총자산 330억원(2021년 말 기준) 규모인 ㈜차우의 2015년 이후 재무실적을 보면, 매출은 2015년 35억원을 찍은 뒤로 거의 매년 예외 없이 뒷걸음질치고 있다. 작년에는 13억원에 머물렀다. 

이렇다 보니 벌이라고 좋을 리 없다. 코로나19 탓도 있겠지만 7년간 영업흑자를 낸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게다가 2018년 이후 적자 규모가 점점 불어 작년에는 9억원에 이른다. ‘먹는장사’로는 영 재미를 보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총자산 36억원 가량인 또 다른 외식업체 세우리도 별 반 다를 게 없다. 2019~2021년 매출 규모는 23억~54억원으로 ㈜차우보다 많지만 매년 예외 없이 영업적자를 이어가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영업손실이 2019년 3억원에서 재작년에는 15억원으로 급증한 뒤 작년에도 10억원 가까이 됐다. 순익이라고 별반 다를 게 없다. 2억원의 적자를 시작으로 점점 불어 작년에는 10억원의 손실을 냈다. 

외식업체 적자 메운 비결…형제사 녹십자

㈜차우는 다만 순익으로는 2020~2021년 각각 77억원, 14억원 흑자를 냈다. 비결은 딴 게 아니다. 한일시멘트 형제사인 녹십자에 있다. 현재 확인 가능한 범위로, ㈜차우의 2019년 말 매도가능증권 자산은 268억원. 이 중 녹십자 지주회사이자 상장사인 녹십자홀딩스 지분 2.00%(장부가 209억원)를 핵심 자산으로 가지고 있었던 것. 

즉, 2020년 ㈜차우의 대규모 순익흑자는 녹십자홀딩스 지분 매각(2.00%→1.15%) 등으로 101억원에 달하는 차익을 낸 데 기인한다. 한마디로 본업인 외식업으로는 적자가 쌓여가는 가운데 형제사의 주식으로 이를 메운 셈이다.  

아울러 ㈜차우는 2020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주식투자에 나설 모양새다. 이전까지만 해도 녹십자홀딩스 외에 서울랜드(7.54%), 세우리(10.51%) 등 비상장 관계사 주식만을 보유하고 있던 ㈜차우가 재작년에 상장사 주식을 대거 사들인 것을 볼 수 있는 것. HD현대, SK이노베이션, 기아차, HDC현대산업개발, 제넥신, 지노믹트리 등 6개사 주식으로 액수로는 각각 5억원씩 30억원어치다. 

‘[거버넌스워치] 한일시멘트 ①편’에서 기술한 대로, ㈜차우가 최근 그룹 주력사인 한일시멘트 주식 약 5억원어치를 장내 매입, 주주(지분0.06%)로 등장한 것도 어찌 보면 이와 무관치 않다고 볼 수 있다. (▶ [거버넌스워치] 한일시멘트 ④편으로 계속)

신성우 (swshin@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