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러 위협에 北 도발까지.. 다급해진 美, 고강도 대응 나선다

박영준 2022. 10. 6. 06: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방장관, 韓·日 장관과 연쇄 통화
北 미사일 대응·안보협력 등 논의
韓·美·日 외교차관회의도 열릴 듯
美, 안보리 공개회의 소집 요구
대통령실 "北, 7차 핵실험 위한
단계별 시나리오 밟아가는 듯"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레이건호(CVN-76) 항모강습단(CSG)이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5일 최근 훈련 후 떠났던 동해로 다시 돌아와 이르면 6일 한·미·일 탄도미사일경보 연합훈련을 실시한다.

합동참모본부는 지난달 30일 동해 공해상에서 진행된 한·미·일 대(對)잠수함 연합훈련 후 해역을 떠났던 레이건호 항모강습단이 이날 오후 동해 공해상에 재진입했다고 발표했다. 한·미·일이 2주 연속 동해에서 3국 연합훈련을 하는 것은 사상 처음이다.
5일 오후 동해 공해상에 재진입한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레이건호(CVN-76) 모습. 지난달 30일 동해에서 한·미·일 대잠 연합훈련에 참가한 레이건호 항모강습단은 이르면 6일 동해에서 한·미·일 탄도미사일 경보 연합훈련을 벌일 예정이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합참은 이와 관련해 “한·미동맹은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해 긴밀한 공조 아래 관련 동향을 추적·감시하면서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미군은 앞서 이날 오전 1시 동해상으로 지대지 탄도미사일 에이태큼스(ATACMS)를 2발씩, 총 4발을 발사해 가상표적을 정밀 타격했다. 연합지대지 대응사격 중 국군이 국산 탄도미사일인 현무-2 1발을 쐈으나 발사 직후 비정상 비행 후 강원 강릉기지 인근에 떨어지는 낙탄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4일 당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을 강력히 규탄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과는 별도 통화를 하지 않고 6일 오후 기시다 총리와 통화할 예정이다.

바이든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전화통화에서 “북한의 미사일 시험을 가장 강력한 표현으로 규탄했으며 (이번 미사일) 발사가 일본 국민에게 위험이 되고 역내를 불안정하게 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평가했다”고 미국 백악관이 이날 발표했다.

백악관은 “양 정상이 즉각적이며 장기적인 대응을 양자, 한국과 함께 3자, 그리고 국제사회와 함께 지속해서 긴밀히 조율할 것임을 확인했다”며 “북한의 불법적인 탄도미사일 및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을 지탱할 능력을 제한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계속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전화통화 후 기자들과 만나 “일·한 문제에 대해서는 얼마 전 유엔 총회에서 윤 대통령과 의사소통을 해 외교당국의 다양한 협의를 촉진한다는 점에 생각이 일치했다”며 “안보 분야는 국민의 생명, 일상생활과 관련된 부분이므로 긴밀한 의사소통을 도모해가고 싶다”고 말했다고 총리관저가 이날 밝혔다.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최대 당사자인 한국이 아닌 일본 정상과만 통화했다는 점은 국제사회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최근 잇따른 도발 이후나 그 이전에도 한·미 양국 NSC(국가안전보장회의) 간에 긴밀한 소통은 이뤄지고 있다”며 다양한 채널로 소통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실질적인 액션을 수반하는 동맹 차원의 한·미 안보와 군사 협력, 그리고 한·미·일 안보 협력이 북한의 긴장 고조 움직임과 함께 이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미 ‘에이태큼스’ 발사 맞대응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발사 하루 뒤인 5일 새벽 강원 강릉 공군기지에서 에이태큼스(ATACMS)가 화염을 내뿜으며 동해상에 설정된 가상표적을 향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우리 군은 중거리탄도미사일(IRBM)로 규정한 것에 비해 미국 측은 NSC 대변인 명의 성명과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 발언 등을 통해 장거리탄도미사일(Long-range ballistic missile)로 표현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좀처럼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던 백악관이 3일(현지시간) NSC 대변인 명의 규탄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기시다 총리와 통화함에 따라 북한에 대한 고강도 대응이 예상된다. 대만해협을 둘러싸고 중국의 군사 위협이 고조하고,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핵 위협에 나선 가운데 북한까지 도발 수위를 끌어올리자 대응태세 강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로이드 오스틴 국방부 장관과 웬디 셔먼 국무부 부장관은 각각 한·일 국방장관 및 외교차관과 연쇄 통화를 하고 북한 미사일 대응과 한반도 비핵화, 한·미·일 안보 협력 문제를 협의했다. 셔먼 부장관과 조현동 외교부 1차관, 모리 다케오(森健良)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수 주 내 일본 도쿄에서 3국 외교차관 회의를 하기로 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제7차 핵실험으로의 가능성을 높여가기 위한 단계별 시나리오를 밟아가는 게 아닌가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5일 유엔 안보리 공개회의 소집을 요구했다. 중·러가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있어 안보리 차원의 결의 채택은 불투명하다.

미국은 안보리 차원의 결의 채택에 실패하면 동맹국과 함께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관련 인물 및 기관에 대한 추가 제재를 발표할 수 있다. 우리 외교부 관계자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이해 당사국으로서 5일 안보리 공개 브리핑에 참석한다”며 “북한의 반복되는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해서 국제사회의 엄중한 메시지가 발신될 수 있도록 안보리 이사국을 포함한 주요 우방국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도쿄=박영준·강구열 특파원, 이현미·박수찬·김선영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