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5년 간 기자 100여명 퇴사.. 10명 중 7명 '떠날 생각'

최승영 기자 2022. 10. 5. 17: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전남기협 '2022 광주·전남 언론인 이·퇴직 실태조사'

광주·전남지역 언론사들에서 지난 5년 간 100여명의 기자가 퇴직했다는 조사가 나왔다. 10명 중 7명은 입사 이후 퇴직 고민을 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언론사 전반에서 기자들의 '엑소더스'가 지속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더 어려운 여건에 놓인 지역언론의 현실을 드러내는 단면이다.

광주전남기자협회는 최근 18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5년 간 퇴직자 현황을 조사해 분석한 '2022 광주·전남 언론인 이·퇴직 실태조사' 결과를 지난달 26일자 협회보(제183호)에 게재했다. 조사결과 지난 2018년부터 올해 8월 말 현재까지 이들 언론사에서 퇴직한 기자는 총 92명이었다. 비편집국과 정년 퇴직자를 제외한 수치인 만큼 지역 언론사 인력 유출의 심각성을 더욱 드러낸다.

특히 신문사에서 이 같은 문제는 더욱 도드라지게 나타났다. 전체 퇴직자 중 78%에 달하는 72명이 7개 신문사 소속 기자였다. 구체적으론 전남일보가 14명으로 가장 많았고, 남도일보·광주매일신문·무등일보 각 11명, 전남매일·광남일보 각 9명, 광주일보 7명 등 순이었다. 지역신문 한 곳당 지난 5년 새 10여명의 기자가 조직을 떠난 셈이다. 퇴직자 다수는 기자 경험과 관련된 곳으로 이직을 택했다. 중앙지나 방송, 통신사 등 기존 근무환경보다 임금이나 처우가 개선된 매체로 ‘점프 이직’한 케이스가 50%(46명), 기자 경험을 살린 공공기관·관계기관 홍보팀 이직 26%(24명) 등이었다.

협회보는 이에 대해 “신문과 방송, 통신 등 매체별로 구성원의 규모와 시스템의 차이가 있는 만큼 단순 비교하기 어렵지만 같은 기간 방송사와 통신사 퇴직자가 각각 12명과 8명에 불과한 것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대다수가 더 나은 환경이나 비전을 쫓아 언론사나 관련 업무로의 점프 이직을 선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언론사 조직의 환경개선이 절실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적었다.

퇴직자 다수가 10년차 미만의 기자였다는 점이 더 고민을 안긴다. 77%(71명) 비율이 여기 해당됐다. 차장이나 부장 등 간부급 퇴사도 적은 비율(21%, 20명)이 아니었다. 협회보는 “과거 기자로서 명예와 사명감만으로 버텼던 ‘선배 세대’와 달리 더 이상 직업에 대해 만족감을 느낄 수 없는 ‘후배 세대’의 과감한 선택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라며 “젊고 유능한 기자뿐 아니라 조직의 허리 또는 조직을 맡은 부서장급 기자들의 퇴직이 빈번해지면서 언론사 조직 와해 우려까지 고조되고 있다”고 했다.

이 현상은 진행형의 문제다. 203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73.4%(149명)는 ‘입사 이후 이직이나 퇴사를 고민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없다’는 답은 26.6%(54명)에 불과했다. ‘향후 이·퇴직을 준비하고 있느냐’는 질문엔 62.6%(127명)가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을 결심하는 배경엔 언론사 근무환경 악화, 낮은 임금과 불투명한 비전이 지목됐다. ‘최근 3년 간 근무환경이 ‘악화됐다’는 평가가 52.2%(106명)에 달했으며, ‘그대로’가 27.6%, ‘좋아졌다’는 14.8%(30명)이었다. 실제 이·퇴직을 고민하는 이유론 ‘회사 비전 또는 미래 비전에 대한 불만’(38.3%)이 가장 높았으며, ‘낮은 연봉’(33.3%), ‘업무 과다’(12.4%), ‘폐쇄형 조직문화(8.9%), ’상사·동료와 불화‘(2.8%) 순이었다. 해결책으론 응답자 절반 가량(45.6%)이 ‘임금 인상’을 꼽았다.

저연차 기자들이 언론계를 떠나는 원인에선 현재 언론사들이 떠안은 과제 전반이 드러난다. △언론산업 사양화 △언론의 포털 종속 △기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증가 △과중한 업무량과 노동 강도 △일과 일상의 균형이 맞는 ‘워라밸’ 미보장 △조직의 비전 부재 △인력난 반복 △사주의 지도력 부재 속 사명감만 강조하는 이른바 ‘꼰대 문화’ △위계적인 절차 속 비상식적 의사결정 등이 이유로 꼽혔다.

더불어 지역언론에서 심각하게 나타나는 경영진 및 언론사주의 폐해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협회보는 응답자 상당수가 “공공재라 할 수 있는 언론을 특정인(사주)의 사유물로 여기는 ‘철학 없는 언론사 소유’가 가장 큰 문제”라며 “회사의 부당한 취재와 광고 영업 지시, 과도한 데스킹(기사 차단)은 언론 위기를 부추긴다”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이번 조사는 광주전남기자협회가 지난 8월 말 기준 18개 지회 회원 547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3~15일 모바일 설문을 진행하고 이 중 203명(37.1%)가 응답한 결과다.

Copyright © 기자협회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