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트위터 인수 재추진..'슈퍼앱' 나오나

박신영 2022. 10. 5. 17: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트위터 인수 계약을 철회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기존에 약속했던 440억달러(약 62조8000억원)를 주고 다시 트위터를 사들이기로 했다.

머스크는 지난 4월 440억달러에 트위터를 인수하기로 했지만 석 달 뒤인 7월 8일 계약을 파기하겠다고 선언했다.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 계약을 재개한다는 소식에 트위터 주가는 이날 장중 13% 가까이 오른 47.95달러에 매매 정지가 이뤄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송 앞두고 패소 부담된 듯
'인수 포기' 3개월 만에 번복
원래대로 440억弗에 사들이기로
트위터 주가는 22% 폭등

머스크 "메시지 전송·결제 등
앱 하나로 모두 처리하겠다"

트위터 인수 계약을 철회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기존에 약속했던 440억달러(약 62조8000억원)를 주고 다시 트위터를 사들이기로 했다. 해당 소식이 알려지면서 트위터 주가는 22%가량 폭등했다. 머스크는 트위터를 기반으로 소셜미디어부터 메시지 전송, 결제 등 광범위한 기능을 갖춘 슈퍼 앱 ‘X’를 개발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주당 54.2달러에 인수

4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소셜미디어 업체 트위터는 SEC에 머스크 측이 원래 조건대로 계약하자는 제안을 해왔다고 신고했다.

머스크는 지난 4월 440억달러에 트위터를 인수하기로 했지만 석 달 뒤인 7월 8일 계약을 파기하겠다고 선언했다. ‘봇(bot)’이라고 불리는 가짜 계정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었다. 시장에선 트위터의 주가가 인수 가격보다 내려간 점에 머스크가 불만을 품은 것으로 분석했다.

머스크의 이번 결정은 트위터와의 법정 다툼을 2주가량 앞두고 이뤄졌다. 트위터는 계약 이행을 강제하기 위한 소송을 델라웨어주 형평법 법원에 제기했고, 법원은 이달 17일부터 닷새간 관련 재판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일각에선 머스크의 트위터 재인수 결정은 이번 소송전에서 승소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 계약을 재개한다는 소식에 트위터 주가는 이날 장중 13% 가까이 오른 47.95달러에 매매 정지가 이뤄졌다. 거래 재개 이후엔 22.24% 폭등한 52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트위터 발판으로 슈퍼 앱 개발

머스크는 이날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트위터 구매는 모든 것의 앱인 ‘X’를 만들어내는 촉진제”라고 썼다. 머스크는 △메시지 전송 △금융 결제 △원격 차량 호출 등이 가능한 슈퍼 앱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트위터가 중국의 위챗이나 틱톡처럼 많은 사용자를 거느린 소셜미디어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트위터에서 ‘X’ 앱이 구체적으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지 언급하진 않았지만, 해당 앱 개발 속도가 3~5년 빨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머스크는 트위터 인수자금 마련을 위한 사모펀드 투자설명회에서 트위터를 비상장 회사로 전환했다가 3년 안에 다시 상장시키는 방안을 밝히기도 했다. 상장회사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SEC 등에 회사 내부 정보 등을 공개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서다. ‘X’앱 등과 관련된 투자 내용이 외부에 유출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위터를 인수한 뒤 3년 내 재상장시킨다는 계획은 트위터 주주들에게 긍정적으로 해석된다”며 “머스크가 3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트위터 기업가치를 끌어올릴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고 덧붙였다.

다만 트위터 인수자금을 대출해주기로 한 은행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다. 모건스탠리 등 대출 은행들은 머스크에 인수자금을 빌려주고, 해당 채권을 기관투자가들에 매각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자금시장 경색으로 매각 속도와 금리 설정을 계획대로 진행하기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