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공립 중·고 교사, 올해보다 488명 더 뽑는다

김은경 기자 2022. 10. 5. 14: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3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51일 앞둔 지난달 27일 오후 부산 사하구 부산여자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수험생들이 공부를 하고 있다./김동환 기자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내년 전국 공립 중·고등학교 교과 교사 4898명을 새로 뽑기로 했다. 올해(4410명)보다 11% 더 뽑는 것이다. 다만 특수교사와 보건·영양·사서·전문상담 등 비(非)교과 교사 선발 규모는 크게 줄어든다.

5일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의 2023학년도 공립 중·고교 교사 선발 인원을 취합해 발표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올해(390명)보다 1.5배 많은 611명을 선발한다. 경기(1405명), 세종(105명), 부산(280명), 충남(350명), 충북(265명), 경북(300명), 경남(300명), 제주(140명) 등도 선발 규모가 커졌다. 다만 인천(201명), 대전(46명), 강원(200명), 전북(250명), 전남(254명), 울산(117명) 등은 올해보다 신규 교사를 적게 뽑는다. 특히 광주는 올해(58명) 대비 71%가량 줄어든 17명에 그쳐 감소폭이 가장 컸다. 대구는 올해와 같이 57명을 뽑는다.

내년 중등 특수교사와 보건·영양·사서·전문상담 등 비교과교사는 올해(3024명)보다 대폭 적은 1190명만 선발한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 때 이례적으로 비교과 교사 선발을 크게 늘렸던 것”이라며 “현 정부의 공무원 정원 감축 기조에 맞춰 내년 규모는 줄였다”고 했다.

앞서 지난달 공개된 공립 초등 교사 선발 계획에 따르면 내년 초등 교사 선발 규모는 3561명으로 올해(3758명)보다 197명 줄었다. 초등 교사는 덜 뽑는데, 중·고교 교사는 더 뽑는 이유는 뭘까. 교육부는 “중·고등학교는 아직 학생 수 감소가 초등학교만큼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며 “약 2026학년도부터 신규 임용 규모가 본격적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또 초등 교사는 교과목이 나뉘지 않아 학생 수 감소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만, 중·고교는 디지털 인재 양성이나 고교학점제 같은 정책에 따른 과목별 수요가 있다는 것이 교육부 설명이다. 다만 학령 인구 감소로 전체적인 교원 정원은 줄고 있다. 내년도 공립교원 정원은 올해 대비 2982명 줄어든 34만2388명. 정부가 교원 정원을 감축한 건 처음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