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법 시행에도 446명 숨져..법 유예 사업장서 281명 사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후에도 산업현장에서 443건의 중대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법 적용이 2024년으로 유예된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공사금액 50억 미만)에서의 중대재해 발생률이 64.8%를 차지해 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올해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후에도 산업현장에서 443건의 중대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법 적용이 2024년으로 유예된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공사금액 50억 미만)에서의 중대재해 발생률이 64.8%를 차지해 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중대재해 발생 현황'에 따르면 중대재해법이 시행된 지난 1월27일부터 9월30일까지 발생한 중대재해는 443건(사망 446명, 부상 110명)이다.
이 중 중대재해법이 적용 중인 '상시근로자 50인 이상(공사금액 50억원 이상)' 사업장에서 발생한 사고는 156건(사망 165명)으로 전체 35.2%, 2024년으로 법 적용이 유예된 '상시근로자 50인 이하(공사금액 50억원 이하)' 사업장은 287건(사망 281명)으로 전체 64.8%를 차지했다.
법 적용 사업장에서 발생한 중대재해 사망사고 중 하청근로자 사망은 107건으로 전체 65% 수준이다. 반면 법 적용 유예 사업장의 경우 원청업체 근로자 사망이 204건(72.6%)으로 더 많았다.
유예 사업장의 경우 소규모 업체로 하청을 두지 않거나, 회사가 하청업체인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중대재해법 적용 사업장의 중대재해 발생 시 고용부의 기소 송치율은 21건(13.5%)이었지만, 유예 사업장의 경우 산업안전보건법을 통해 124건(43.2%)의 기소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진 의원은 "중대재해법이 우선 적용된 사업장에서 하청노동자의 사망비율이 높아, 위험의 외주화를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며 "원청사의 관리감독 강화를 통해 하청노동자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해야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민종, '6년 공개열애' 前애인 이승연과 연락…"장가 왜 안 가냐고"
- 박나래 '세바퀴' PTSD 폭로 "장도연 잘린 후 그만두겠다고 못 해"
- 패리스 힐튼, 전라 누드 리본으로 겨우 가렸네…누리꾼 '불편'
- "GD보다 잘 벌어"…빅뱅 승리, 살오른 근황
- 불화설 3개월만…'연애남매' 이윤하·김윤재 결혼 미루나
- 크리스마스 전날 숨진 채 발견된 목사..고속도로 갓길 주차된 차량서 발견
- "정우성·문가비 만남, 오래된 現연인과 잠시 헤어졌을 때"…새 주장(종합)
- '세금 4억 체납' 박유천, 일본에서 근황 공개…환한 미소
- "피임약 끊었더니 동성애자 됐다"…호주 20대女 충격 고백
- 지적장애인 전재산·할머니 부조금 편취…유명 탁구선수 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