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완성車, 7개월 만 내수·해외 동시 성장..부품 수급난 완화됐나

송승현 2022. 10. 4. 17: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지난 2월 이후 7개월 만에 내수와 해외판매에서 모두 성장세를 거두며 오랜만에 미소를 지었다.

국내 완성차 5개사가 내수와 해외판매에서 모두 성장세를 거둔 건 지난 2월 이후 7개월 만으로, 올해 월 최대 판매 기록도 경신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완성차 5개사, 지난 9월 65만 8852대 판매..전년比 21.1%↑
현대차·기아, 해외시장 이어 내수서 오랜만에 증가세로 웃어
쌍용차, '토레스 효과'로 3개월 연속 1만대 돌파 쾌거
"내수 상승세, 부품 수급난 완화로 생산·판매 체계 안정화 신호"

[이데일리 송승현 기자]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지난 2월 이후 7개월 만에 내수와 해외판매에서 모두 성장세를 거두며 오랜만에 미소를 지었다. 그동안 자동차 부품 수급난으로 실적이 저조했던 상황에서 정점을 찍고 회복세에 돌입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4일 국내 완성차 5개사(현대자동차(005380)·기아(000270)·한국지엠·르노코리아자동차·쌍용자동차(003620))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달 글로벌 시장에서 65만 8852대의 자동차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 내수 시장에서는 11만 3656대로 23.8% 증가했고, 해외판매(수출)에서는 54만 5196대로 20.5% 증가했다.

국내 완성차 5개사가 내수와 해외판매에서 모두 성장세를 거둔 건 지난 2월 이후 7개월 만으로, 올해 월 최대 판매 기록도 경신했다. 특히 완성차 5개사가 모든 분야에서 골고루 성장세를 기록한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회사별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 현대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35만 5040대를 판매해 24.4% 증가했다. 지난 7월부터 해외시장에서 판매량이 증가세로 돌아선 데 이어 지난달에는 내수에서도 오랜만에 웃었다. 현대차 관계자는 “본격 판매를 시작한 아이오닉6를 비롯해 올해 말 신형 그랜저 등 경쟁력 있는 신차를 출시하는 등 시장 최적화 전약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기아도 레저용 차량(RV) 중심으로 인기를 끈 결과 내수, 해외판매에서 동반 성장을 거둘 수 있었다. 내수에서는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쏘렌토(5335대)가, 해외에서는 스포티지(3만 7727대)가 베스트셀링 모델로 올랐다. RV 인기에 힘입어 기아는 지난달 글로벌 시장에서 24만 9146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10.9% 올랐다.

쌍용차는 신형 SUV ‘토레스 효과’에 힘입어 내수 판매가 크게 증가하며 3개월 연속 1만대 판매를 달성하는 쾌거를 거두기도 했다. 지난달 쌍용차는 총 1만 1322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90.3% 급등했다. 이같은 실적은 토레스가 출시 이후 최대 기록인 4685대로 집계되며 내수 판매 7675대를 쓰며 21개월 만에 최대 실적을 거둔 것이 주효했다. 수출 역시 토레스가 칠레 등 중남미 지역으로 본격적인 선적을 시작하는 등 상승세가 지속하고 있다.

한국지엠과 르노코리아차도 내수와 수출에서 오랜만에 웃으며 호실적을 거뒀다. 한국지엠과 르노코리아차는 지난달 2만 4422대와 1만 8922대의 차량을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7.6%, 28.3% 증가했다. 이들의 실적은 수출에서 각각 전략 차종인 트레일블레이저와 XM3가 실적을 견인한 것이 주효했다. 아울러 내수에서도 두 차량이 인기를 끌면서 오랜만에 성장세를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완성차 업체의 판매가 완전한 성장세로 돌아서면서 코로나19,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촉발된 부품수급난이 정점을 찍고 완화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내수와 해외시장에서 모두 성장세를 거둘 수 있었던 건 부품 수급난 완화로 안정적인 생산·판매 체계를 갖췄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와 기아를 중심으로 해외시장에서는 성장세로 돌아섰는데 지난달에는 부품 수급난이 정점을 찍고 완화하면서 내수에서도 숨통이 트인 결과 호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부품 수급난은 공급망 문제로 발생했던 만큼 안심할 수준은 아니다”고 말했다.

송승현 (dindibu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