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Y] 극장가, 또 다시 비수기 터널..'공조2' 뜻밖의 롱런

김지혜 2022. 10. 4.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BS 연예뉴스 | 김지혜 기자] 빈수레가 요란했던 여름 시장과 역대급 빈집털이였던 추석 시즌이 지나고 난 후 극장가에 또 한 번의 비수기가 도래했다.

개천절과 한글날까지 2주 연속 이어지는 10월 연휴를 노리고 개봉했던 한국 영화 신작들이 도통 힘을 쓰지 못하면서 개봉 한 달째에 접어든 '공조2:인터내셔날'이 박스오피스를 장기 집권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4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에 따르면 개천절이었던 3일 '공조2'가 13만 3,804명으로 박스오피스 1위, '정직한 후보2'가 9만 6,444명으로 2위, '인생은 아름다워'가 7만 7,604로 4위, '늑대사냥'이 1만 906명으로 7위에 올랐다.

3일 극장을 찾은 전체 관객수는 48만 9,497명이었다. 주말(9월 30일~10월2일) 104만 7,214명의 절반 수준이었다. 전체 4일간 모은 관객 수는 152만 명. 코로나19 이전 수준과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무리가 있지만 200만 명이 채 되지 않은 것은 아쉬움이 클 수밖에 없다. '공조2'의 뒷심과 신작의 공세에도 극장가의 활기는 예상보다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영화 기대작이었던 세 영화가 힘을 못 쓴 것은 아쉬운 결과였다. 9월 21일 개봉한 '늑대사냥'과 9월 28일 개봉한 '인생은 아름다워', '정직한 후보2'는 추석 시즌 극장가를 장악했던 '공조2'에 이어 극장가 판도를 재편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세 편 모두 장르도 다르고, 개성도 다른 만큼 관객에게 골라보는 재미를 선사할 것이라는 전망도 밝았다.

그러나 개봉 이후 세 영화 모두 미지근한 반응을 얻으며 초반 승기조차 제대로 잡지 못했다. '늑대사냥'이 단 하루, '정직한 후보2'가 단 3일간 일일 박스오피스 정상을 맛봤을 뿐이었다. 그리고 10월 첫 번째 연휴였던 개천절 극장가 승자는 '공조2: 인터내셔날'이 됐다. 개봉한 지 무려 4주가 지난 작품이었다.

'공조2'가 장기 흥행을 할 만큼 재밌다는 말도 되지만, 신작들이 확실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문제가 컸다. 한 주 먼저 개봉한 '늑대사냥'을 제외하고 '인생은 아름다워'와 '정직한 후보2'는 스크린 수에 있어서도 '공조2'와 100여 개 안팎 차이 밖에 나지 않았다. 그러나 관객 수는 '공조2'에 크게 뒤쳐졌다.

결국 '늑대사냥'과 '인생은 아름다워', '정직한 후보2'는 신상 영화의 장점도 누리지 못했다. 개성과 다양성이 돋보이는 신작이긴 했지만 완성도 면에서 확실한 인상을 남기지 못한 게 패착으로 보인다. '늑대사냥'은 과도한 19금 묘사로 관객에게 비호감 영화로 찍혔고, '인생은 아름다워'는 뮤지컬 영화에 대한 국내 관객의 낯섦을 극복하지 못했다. '정직한 후보2'는 1편 보다 신선도도 재미도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으며 이렇다 할 임팩트를 남기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입소문 효과도 미미하다. '공조2'의 경우 뻔한 팝콘 무비라는 비판도 적잖았지만, 가족 단위 관객이 웃으며 즐길 수 있는 오락 영화로서는 합격점이라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현빈, 유해진, 임윤아에 다니엘 헤니가 가세한 캐스팅의 승리라고도 볼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비수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는 것이다. 오는 5일 '컴백홈', 12일 '대무가'가 개봉하지만 영화의 규모나 재미, 캐스팅 면에서 앞선 영화를 능가한다고 볼 수 없다.

한 달 째 박스오피스 정상권을 지키고 있는 '공조2'는 600만 관객을 돌파했으며, 전편(781만 명)의 흥행 성적에 도전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공조2'의 대항마는 보이지 않는다.

12월 성수기까지는 아직 두 달이나 남았다. 10월과 11월은 전통적으로 비수기다. 올해라고 다른 판도가 짜인 것은 아니다. 다만 코로나19로 묵혀놨던 영화들이 쏟아지고 있다. 개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 자체는 기쁜 일이지만 비수기의 장기화로 인해 손익분기점에 대한 부담과 한숨이 커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그러나 영화 한 편 마음먹고 보기 부담스러운 관람료 인상으로 인해 영화를 선택하는 잣대는 더욱 엄격해졌다. OTT 한 달 이용권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서 '휴일엔 영화'라는 공식도 무색해졌다.

ebad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