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지]北 단거리 이어 중거리미사일 발사.. 열흘 새 5번째 도발

박응진 기자 허고운 기자 2022. 10. 4. 13: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4일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발사를 감행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7시23분쯤 북한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쪽으로 IRBM 1발을 발사했으며, 이 미사일은 일본 상공을 지나 태평양에 떨어졌다.

북한의 이날 미사일 발사지점으로 지목된 무평리는 올 1월 IRBM '화성-12형' 시험발사를 했던 곳이다.

북한의 이날 미사일 발사는 올해 27번째 무력시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행거리 4500km, 고도 970여km.. 日상공 지나 태평양 낙하
북한 중거리탄도미사일 '화성-12'형 (미국 CSIS 미사일 방어 프로젝트)

(서울=뉴스1) 박응진 허고운 기자 = 북한이 4일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발사를 감행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7시23분쯤 북한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쪽으로 IRBM 1발을 발사했으며, 이 미사일은 일본 상공을 지나 태평양에 떨어졌다. 북한이 쏜 미사일이 일본 열도 상공을 지나간 건 지난 2017년 9월 이후 5년 만의 일이다.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4500여㎞, 정점고도는 970여㎞, 그리고 최고속도는 약 마하 17(초속 약 5.78㎞)로 탐지됐다.

북한의 이날 미사일 발사지점으로 지목된 무평리는 올 1월 IRBM '화성-12형' 시험발사를 했던 곳이다. 따라서 북한이 이날 쏜 미사일도 '화성-12형'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25일 평안북도 태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1발을 발사한 것을 시작으로 이달 1일까지 4차례에 걸쳐 총 7발의 SRBM을 쐈다. 그리고 이날은 IRBM을 쏘면서 도발 수위를 한층 더 높였다.

북한의 이날 미사일 발사는 올해 27번째 무력시위다.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에 해당하는 탄도미사일 발사로는 21번째다.

북한은 올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엔 이날까지 탄도미사일 발사 7차례, 순항미사일 발사 1차례, 그리고 재래식 방사포(다연장로켓) 사격 3차례 등의 12차례 무력시위를 벌였다.

다음은 북한의 올해 미사일 발사 등 무력도발 일지.

▲1월5일 오전 =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급 '극초음속미사일' 1발 시험발사. 비행거리 700㎞ 미만. 정점고도 50㎞ 이하, 최고 속도 마하6(초속 약 2.04㎞)/ 북한 "700㎞ 비행 및 120㎞ 측면기동" 주장.

▲1월11일 오전 =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MRBM급 '극초음속미사일' 1발 최종 시험발사. 비행거리 700㎞ 이상. 정점고도 약 60㎞, 최고 속도 마하10(초속 약 3.4㎞)/ 북한 "1000㎞ 비행 및 240㎞ 선회기동" 주장.

▲1월14일 오후 = 평안북도 의주 일대에서 평북 철도기동미사일연대 검열사격훈련. 동해상으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KN-23(일명 '북한판 이스칸데르') 2발 발사. 비행거리 약 430㎞, 정점고도 약 36㎞.

▲1월17일 오전 = 평양 순안국제공항 일대에서 전술유도탄 검수사격시험. 동해상으로 SRBM KN-24(일명 '북한판 에이태큼스(ATACMS)') 2발 발사. 비행거리 약 380㎞, 정점고도 약 42㎞.

▲1월25일 오전 = 내륙에서 동해상으로 장거리 순항미사일 2발 시험발사/ 북한 "2시간32분17초 간 1800㎞ 비행" 주장.

(평양 노동신문=뉴스1) =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총비서.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1월27일 오전 =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지대지 전술유도탄(SRBM KN-23) 2발 시험발사. 비행거리 약 190㎞, 정점고도 약 20㎞/ 북한 "상용 전투부 위력 확증" 주장.

▲1월30일 오전 =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1발 검수사격시험. 비행거리 약 800㎞. 정점고도 약 2000㎞.

▲2월27일 오전 = 평양 순안공항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ICBM '화성-17형' 개발용 탄도미사일 1발 발사. 비행거리 약 300㎞. 정점고도 약 620㎞/ 북한 "정찰위성 개발시험" 주장.

▲3월5일 오전 = 평양 순안공항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ICBM '화성-17형' 개발용 탄도미사일 1발 발사. 비행거리 약 270㎞. 정점고도 약 560㎞/ 북한 "정찰위성 개발시험" 주장.

▲3월16일 오전 = 평양 순안공항 일대에서 ICBM '화성-17형' 개발용 탄도미사일 1발 발사 실패. 고도 20㎞ 미만 상공서 폭발.

▲3월20일 오전 = 평안남도 숙천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방사포(다연장로켓포) 4발 발사.

▲3월24일 오후 = 평양 순안국제공항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ICBM '화성-15형' 1발 시험발사. 비행거리 약 1080㎞. 정점고도 6200㎞ 이상/ 북한 "'화성-17형' 시험발사 성공" 주장.

▲4월16일 오후 =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전술탄도미사일(신형전술유도무기) 2발 시험발사. 비행거리 약 110㎞, 정점고도 약 25㎞.

▲5월4일 오후 = 평양 순안공항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ICBM 추정 탄도미사일 1발 발사. 비행거리 약 470㎞, 정점고도 약 780㎞.

▲5월7일 오후 = 함경남도 신포 일대에서 SLBM 추정 탄도미사일 1발 발사. 비행거리 약 600㎞, 정점고도 60여㎞.

▲5월12일 오후 = 평양 순안공항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초대형방사포'(KN-25) 추정 단거리 탄도미사일 3발 발사. 비행거리 약 360㎞, 정점고도 약 90㎞.

▲5월25일 오전 = 평양 순안공항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ICBM 추정 탄도미사일 1발 및 SRBM 2발 발사. ICBM 추정 미사일은 비행거리 약 360㎞, 정점고도 540㎞. 단거리탄도미사일 2발 중 1발은 비행거리 약 760㎞, 정점고도 약 60㎞. 다른 1발은 발사 후 고도 약 20㎞에서 소실.

▲6월5일 오전 = 평양 순안, 평안남도 개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함경남도 함흥 일대 등 4곳에서 SRBM 2발씩 총 8발 발사. 비행거리 약 110~670㎞, 정점고도 약 25~90㎞.

▲6월12일 오전 = 북한 서해안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방사포 5발 사격

▲7월10일 오후 = 북한 서해안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방사포 2발 사격

▲7월11일 오전 = 북한 서해안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방사포 1발 사격

▲8월17일 오전 = 평안남도 온천비행장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추정) 2발 발사/ 북한 "평안남도 안주시 금성다리서 발사" 주장

▲9월25일 오전 = 평안북도 태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SRBM 1발 발사. 비행거리 600여㎞, 정점고도 60여㎞.

▲9월28일 오후 = 평양 순안공항 일대서 동해상으로 SRBM 2발 발사. 비행거리 360여㎞, 정점고도 30여㎞.

▲9월29일 오후 = 평안남도 순천 일대서 동해상으로 SRBM 2발 발사. 비행거리 350여㎞, 정점고도 50여㎞.

▲10월1일 오전 = 평양 순안 일대서 동해상으로 SRBM 2발 발사, 비행거리 350여㎞, 정점고도 30여㎞.

▲10월4일 오전 =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쪽으로 IRBM 1발 발사, 비행거리 4500여㎞, 정점고도 970여㎞.

pej86@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