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 이익 낸 은행들, 사회공헌액 2년째 줄어..꼴찌는 '카뱅'

채선희 2022. 10. 4. 11: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중은행들이 사상 최대 수준의 이익을 내고 있지만 사회공헌금액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은행들은 이익 대비 사회공헌 비율이 1%에도 못 미쳐 소수점 단위인 경우도 있었다.

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은행연합회 사회공헌활동 보고서, 금융감독원 공시 실적 등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개 은행의 작년 당기 순이익 대비 사회공헌금액 비율은 '-1.26∼13.59%' 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곳은 제주은행..지방은행 공헌비율 커
서민금융 및 지역공익 사업 지원액 가장 많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시중은행들이 사상 최대 수준의 이익을 내고 있지만 사회공헌금액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은행들은 이익 대비 사회공헌 비율이 1%에도 못 미쳐 소수점 단위인 경우도 있었다.

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은행연합회 사회공헌활동 보고서, 금융감독원 공시 실적 등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개 은행의 작년 당기 순이익 대비 사회공헌금액 비율은 '-1.26∼13.59%' 였다.

지난해 적자를 낸 씨티은행을 제외하고 흑자를 거둔 18개 은행 가운데 사회공헌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은행(13.59%)이었고, 최저 은행은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0.15%)였다. 케이뱅크도 0.31%에 그쳤다.

특히 부산은행(12.8%), NH농협은행(12.26%), 전북은행(11.28%), 광주은행(11.09%), 대구은행(10.68%), 경남은행(10.2%) 등 주로 지방은행들의 비율이 10%를 웃도는 모습을 보였다.

5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NH농협은행이 1위였고, 뒤를 이어 신한은행(6.74%)·KB국민은행(6.32%)·우리은행(6.29%)·하나은행(5.71%) 순이었다. 은행·보증기금 등 은행연합회 소속 회원기관과 은행연합회는 작년 사회공헌 사업에 모두 1조617억원을 지원했다.

지원액은 3년 연속 1조원을 웃돌았지만, 2006년 보고서 발간 이래 가장 많았던 2019년(1조1천300억원)보다 적고, 2020년(1919억원)과 비교해도 약 300억원 감소했다. 2년 연속 줄어든 셈이다.

분야별로 보면 서민금융(마이크로 크레딧)과 지역공익 사업에 각각 4528억원, 4198억원이 지원됐다. 이어 학술·교육(1034억원), 메세나·체육(738억원), 환경(68억원), 글로벌(51억원) 순으로 지원 규모가 컸다.

배당성향(당기이익 대비 현금배당 비율)은 SC제일은행(65%)이 가장 높았고 우리은행(55%)·경남은행(50%)·부산은행(48%)·NH농협은행(47%)·부산은행(48%)·하나은행(45%)이 뒤를 이었다.

윤창현 의원은 "코로나19로 자금난에 허덕인 가계와 기업이 대출에 매달리면서 은행과 금융지주의 이자 이익이 역대 최대 규모로 급증했다"며 "그러나 은행들은 내부 임직원의 급여와 성과급만 늘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말로만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외칠 게 아니라, 공익 차원에서 더 적극적으로 이익을 사회에 환원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