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최고지도자, '아미니 추모 시위' 규탄..저항 3주째 이어져
이란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히잡 미착용 20대 여성 의문사’에 항의하는 시민들을 비난했다. 이란에선 지난달 마흐사 아미니(22)가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찰에 끌려갔다가 숨진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정권과 하메네이를 규탄하는 시위가 3주째 이어지고 있다.
로이터통신 등의 보도를 보면 하메네이는 3일(현지시간) “경찰을 포함한 보안군의 의무는 이란의 국가적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경찰을 공격하는 자들이 이란을 깡패, 강도로부터 무방비 상태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아미니 사후 전국 곳곳에서 발생한 시위를 두고 한 말이다. 하메네이는 또 “경찰이 시위에서 불의에 직면했으며 이란을 파괴하려는 사람들은 가혹한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란 정권은 2019년 이후 가장 큰 시민 저항에 맞부딪히고 있다. 아미니의 죽음이 억압적인 통치와 강경한 이슬람주의에 반발하는 계기가 됐으나 이전부터 누적된 경제난과 정권 탄압, 물가 상승 등의 문제까지 터져 나오고 있다. 시위 양상도 격렬하다. 지난 2일 이란 국영 IRNA통신에 따르면 이란 동남부 도시 자헤단에서 시위대와 보안군이 충돌해 이란 최정예군인 혁명수비대(IRGC) 소속 대령이 사망했다.
이란 정부는 연일 강경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인권단체 이란인권(IHR)은 지난 2일까지 이란 전역에서 시위대 133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시위에서 체포된 이들의 수는 2000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란 의회는 “감사합니다, 경찰” 등의 메시지를 내는 등 진압을 옹호했다. 하메네이 또한 이날 연설을 포함해 시위 초창기부터 이번 시위는 미국과 이스라엘이 계획한 폭동이라는 태도를 고수했다.
그럼에도 이란 각지에서는 저항이 끊이지 않고 있다. 12개 도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수업을 거부하고, 히잡을 쓰지 않은 채 등교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대학생 파업 또한 수십개 대학으로 번진 상태다.
AP통신에 따르면 지난 주말 시위 이후 수도 테헤란의 샤리프기술대학은 별도 조치가 있을 때까지 박사과정 학생들만 등교를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경찰이 학생 수백명을 캠퍼스에 가두고 최루탄으로 시위를 해산시켰다고 목격자들은 증언했다. 학생회는 사복경찰들이 학교를 전방위적으로 둘러싸고 밤이 올 때까지 기다렸으며, 학생 300명 이상을 구금했다고 밝혔다. 사복경찰이 교수와 직원을 구타하기도 했다고 학생회는 덧붙였다.
이란 당국을 규탄하는 시위는 이란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3일 성명을 통해 이란의 시위대 탄압을 비판하며 추가 제재를 예고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인간으로서의 기본적 존엄과 평등권을 요구하는 평화로운 이란 시위대에 대한 폭력적인 탄압이 강화되고 있다는 보고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안전한 외부 플랫폼과 서비스를 촉진하는 방식 등을 통해 이란 국민의 인터넷에 대한 접근을 더 용이하게 만들 것”이라면서 “풍속 경찰을 포함해 시민 사회를 탄압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하는 관리와 기관들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은 지난달 이란 여성에 대한 학대와 폭력 등을 이유로 이란의 풍속 단속 경찰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김서영 기자 westzer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법원, 윤석열 두 번째 재판도 ‘지하주차장 출입’ 허용···또 ‘전례 없는 특혜’
- 홍준표 “트럼프는 여자 건드리고 돈 줬지만, 이재명은 무상연애” 막말
- [단독]기소된 ‘윤석열 사건’도 소급? 공수처에 내란죄 수사권…이재명 싱크탱크, 검찰개혁안
- 김동연 측, 여론조사 공정성 논란에 “심각한 범죄···진상 밝혀야”
- ‘계엄’ 연루 졸업생만 4명인데…파면 윤석열에 “충암의 아들, 수고했다”는 충암고 총동문회
- ‘81세’ 장영자, 또 사기로 징역 1년형···5번째 실형, 총 34년 복역 운명
- 홍준표 “차별금지법 반대, 동성애 비옹호, ‘PC주의’는 좌파”···또 드러낸 소수자 혐오
- 트럼프 관세에 ‘럭셔리 기업’도 발 동동···에르메스 “가격 인상”·루이뷔통 “미국 생산
- [한국갤럽] 이재명 최고치 38%···한덕수·홍준표·김문수 7%, 한동훈 6%
- [속보]화마 10만㏊쓸고 갔다··역대 최악의 산불피해 남긴 경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