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IRBM 발사로 전략적 도발모드..이달말 핵실험 감행 우려

이상현 2022. 10. 4. 10: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하루가 멀다하고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더니 4일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을 일본 상공을 넘어 쏘며 도발 수위를 끌어올려 앞으로의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등 영향으로 한동안 조용하더니 미국의 핵 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가 부산에 입항한 직후인 지난달 25일을 시작으로 지난 1일까지 일주일간 4차례에 걸쳐 7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쏘아 올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CBM 발사·핵실험 등으로 도발 수위 높일 가능성..中당대회 끝나는 이달 말 주목
미국 등 안보리 대응 가능성..한미일 vs 북중러 대립 구도 부각
북한 스커드 미사일 北, 키리졸브 시작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 (서울=연합뉴스) 북한이 2일 새벽 스커드c 계열 미사일로 추정되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동해 상으로 발사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국방부는 이날 "북한이 오늘 새벽 6시32분부터 6시41분 사이에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남포 일대에서 동해로 발사했다"며 "사거리는 각각 495㎞, 493㎞였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2013년 북한군의 퍼레이드에 등장한 스커드 미사일. 2015.3.2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상현 박수윤 기자 = 북한이 하루가 멀다하고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더니 4일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을 일본 상공을 넘어 쏘며 도발 수위를 끌어올려 앞으로의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등 영향으로 한동안 조용하더니 미국의 핵 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가 부산에 입항한 직후인 지난달 25일을 시작으로 지난 1일까지 일주일간 4차례에 걸쳐 7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쏘아 올렸다.

일각에선 로널드 레이건호가 한반도를 떠나면서 북한도 잠잠해질 것이란 관측이 나왔지만, 북한은 오히려 IRBM을 발사하며 도발 수위를 끌어올렸다.

특히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발사된 미사일은 일본 상공을 통과해 태평양에 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고도 970㎞로 4천500㎞를 비행한 것으로 탐지됐다.

따라서 지난 1월 IRBM 발사 당시 정상보다 높은 고각으로 발사했던 것과 달리 이번엔 정상각도(30~45도)로 쏜 것으로 보인다.

합참 "北, 함경남도서 동해상으로 미상발사체 2회 발사" 합참 "北, 함경남도서 동해상으로 미상발사체 2회 발사" (서울=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는 24일 "북한은 오늘 아침 함경남도 선덕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미상 발사체를 2회 발사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16일 '북한판 에이태킴스'로 불리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이 표적을 향해 비행하는 모습. 2019.8.24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비행거리 4천500여㎞는 유사시 미국 전략자산의 발진기지인 태평양 괌을 직접 때리고도 남는 사거리다. 평양에서 미국령 괌까지의 거리는 3천400여㎞이다.

북한의 도발은 결국 7차 핵실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적지 않다.

북한은 올해 초에도 1월에 IRBM을 쏜 뒤에 2월부터 5월 말까지 ICBM을 6차례나 쏘며 도발 수위를 끌어올렸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핵실험까지 가기 위한 단계 아니겠나. 중거리 다음은 장거리(미사일)일 것이고 다음은 핵실험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도 "북한이 코로나19 발생 이후 주춤했던 행보를 거둬들이고 전력 질주를 시작한 것 같다"며 "한미일 연합 훈련이 끝난 지금 더 고강도 미사일을 발사한다는 것은 결국 핵능력 확보를 위해 가고 있는 것"이라고 봤다.

핵실험 시기는 오는 16일 시작되는 중국 공산당 당대회가 마무리되는 이달 말부터 내달 8일 미국 중간선거 사이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많다.

국가정보원도 이때를 핵실험 가능 시기로 꼽았다. 중국의 '잔치'를 배려하면서, 미국의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면 이때가 핵실험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최적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연이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 안개 속 북녘 (파주=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우리 국군의 날에 북한이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하는 등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2일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일대가 안개에 싸여있다. 2022.10.2 superdoo82@yna.co.kr

반면 일부에선 미국의 중간선거 결과까지 보고 핵실험 카드를 쓰려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는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7차 핵실험과 연관성은 회의적이다. 북한은 당대회와 중간선거 결과도 보려 할 것"이라며 "내년 1∼2월은 돼야 핵실험의 정치적 타이밍이 계산되지 않겠나"라고 전망했다.

북한이 도발의 성격이 두드러지게 일본 상공을 넘겨 미사일을 쏘면서 국제사회가 어떻게 대응할지도 관심이다. 미국 등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이번 도발에 대한 제재 논의를 해야 한다고 요구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 등이 얼마나 이에 호응할지는 미지수다. 미국이 중국·러시아와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북한은 중·러와의 밀착 행보를 보여왔기 때문이다.

북한은 이날 외무성 조철수 국제기구국장 담화를 통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내 점령지 합병을 지지하고 나섰다.

이번 도발로 한미일 대 북중러의 대립 구도가 더 부각될 수 있는 상황이다.

북한이 일본 상공을 통과해 미사일을 쏜 자체가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대한 경고 차원일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한미일은 최근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막기 위한 연합 대잠수함 훈련을 진행한 바 있다.

홍민 연구실장은 "기존 부산 인근에서 하던 한미연합훈련은 단거리 미사일로 커버하는 전략을 초기 도발에서 보여줬고, 이번에는 일본까지 가세했으니 일본도 안전하지 않다는 걸 중거리 미사일로 보여준 맞대응"이라고 봤다.

hapyry@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