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한장] 바위를 뚫은 효심

김영근 기자 2022. 10. 4. 07: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절벽에 세워진 ‘두암초당(斗巖草堂)’
전북 고창군 아산면 아산초등학교 뒷산 절벽에 세워진 '두암초당'/김영근 기자

전북 고창 선운사로 향하는 길을 따라가다 보면 아산면에 있는 아산초등학교 뒷산 절벽 중간에 바위를 깎아 세워진 ‘두암초당’이 눈길을 끈다.

한 폭의 동양화 같은 풍경에 누구든 감탄이 절로 나온다. 정자 위로 오르면 누렇게 익어가는 가을의 고창 들판이 한 눈에 들어온다. 누가 절벽에 이런 멋진 정자를 지었을까? 사연은 이렇다.

부모가 돌아가시자 시묘살이를 했던 조선 중기 고창 출신 호암 변성온(壺巖 卞成溫 1530~1614)과 인천 변성진(仁川 卞成振 1549~1623) 형제의 효성을 기르기 위해 후손들은 이곳에 정자를 세웠다.

요즘은 보기 드문 절벽에 만든 누정으로 정면 3칸 옆면 1칸이다. 가운데 작은 온돌방을 들이고 3면에 마루를 깔아 수려한 풍광을 즐기도록 하였다. 특히 이곳은 고창 출신의 김소희 명창(1917~1995)이 득음한 곳으로 알려졌다.

두암초당이 세워진 전좌바위와 소반바위, 병바위 일대가 2021년 12월에 국가명승으로 지정됐다. 국가명승은 경치가 좋아 지정하는 문화재로 우리나라에는 130여곳이 있다.

두암초당에서 바라본 풍경. 수확기를 맞아 누렇게 익어가는 들녘의 모습이 절경이다./ 김영근 기자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