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한국내 동결자금 70억달러 풀릴 것" 韓 외교부 "아직 미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란이 간첩 혐의로 몇 년째 억류하고 있는 이란계 미국인 부자(父子) 석방을 미국과 합의한 뒤 "한국 내 동결 자금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에서 좋은 진전이 이뤄졌다"고 이란 외교부가 3일(현지 시간) 밝혔다.
이란 측의 주장과 달리 한국 외교부는 수감자 석방 협상 당사국이 아닌 만큼 해당 사안을 언급하기 어렵고 미국-이란 간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동결 자금 해제를 논의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결자금 해결 협상서 좋은 진전"
美NSC "석방-동결자금 무관" 일축
이란이 간첩 혐의로 몇 년째 억류하고 있는 이란계 미국인 부자(父子) 석방을 미국과 합의한 뒤 “한국 내 동결 자금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에서 좋은 진전이 이뤄졌다”고 이란 외교부가 3일(현지 시간) 밝혔다. 하지만 한국 외교부는 이날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밝혔다. 미국 국가안보회의(NSC)도 전날 트위터에 “석방과 동결 자금이 연관됐다는 보도는 거짓”이라고 일축했다.
앞서 이란 국영 매체 누르뉴스 등은 미국과의 석방 협상 직후인 2일 한국에 묶여 있는 70억 달러(약 10조 원) 규모 이란 석유 수출대금이 해제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협상은 한 중동 국가가 중재해 성사됐다고 누르뉴스는 전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유엔 카타르 스위스가 중재에 참여했으며 이란 측은 수감자 석방이 한국 내 동결 자금 해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취지로 밝혔다고 보도했다.
미국 이란 이중 국적자인 사업가 시아마크 나마지(51)는 2015년 이란 방문 중 간첩 혐의로 체포됐다. 10년 형을 선고받은 그는 인권 탄압으로 악명 높은 테헤란 에빈 교도소에 수감됐다. 2016년 아들 석방을 위해 이란을 찾은 부친 바쿠에르(85)도 같은 혐의로 체포돼 징역 10년을 선고받았다. 바쿠에르는 병(病)보석으로 감옥에서 나와 가택연금 상태로 형을 유지하다 이번 협상 타결 후 치료를 받기 위해 이란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 측의 주장과 달리 한국 외교부는 수감자 석방 협상 당사국이 아닌 만큼 해당 사안을 언급하기 어렵고 미국-이란 간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동결 자금 해제를 논의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카이로=강성휘 특파원 yolo@donga.com
신진우 기자 niceshi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낮엔 직장인, 밤엔 배달… 1인 가구 42% “투잡 뛰어요”
- [사설]재원 대책도 없이 기초연금 ‘퍼주기 담합’ 나선 與野
- [사설]감사원 文 전 대통령 조사, 국감 앞두고 서두를 일이었나
- [사설]OPEC+ 원유 감산 검토, 스태그플레이션 경고음 커졌다
- 文 “감사원 서면조사 무례”…與 “성역 없어” 野 “정치보복”
- 노벨생리의학상에 ‘고유전체학 확립’ 스반테 페보…2대째 수상 영광
- [단독]부정 감시하랬더니 오히려 옹호… 연구자권익위 60% 넘게 ‘제 식구 감싸기’ 감경
- 당정, 정부조직 개편 착수…여가부 폐지·재외동포청 신설 추진
- 올해도 ‘부르고 보자’… 기업 CEO들, 줄줄이 국감 증언대 선다
- 개천절 서울 도심 3만3000명 대규모 집회…‘교통 혼잡’ 빚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