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작년 中 군용기 70여 차례 카디즈 침범..러시아도 10여 차례"
중국 군용기가 지난해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에 70여 차례 이상 진입한 것으로 3일 파악됐다. 방공식별구역(ADIZ)은 국가 안보를 위해 자국으로 접근하는 군용기를 식별하기 위한 임의의 선으로, 영공은 아니지만 사전 통보 없이 진입할 경우 대응 출격에 나서는 것이 원칙이다.
국방부가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중·러·일 군용기의 카디즈 진입 현황’에 따르면 중국 군용기는 지난해에만 70여 회 카디즈에 진입했다. 중국 군용기의 연간 카디즈 진입 빈도는 2017년 80여 회에서 2018년 140여 회로 급증했다. 2019년에는 50여 회로 줄었고, 2020년과 작년에는 각각 70여 회로 집계됐다. 러시아 군용기의 경우 2017·2018년 연간 10여 회 수준이었다가 2019년에는 20여 회로 늘었다. 2020년, 지난해엔 연간 10여 회 카디즈에 진입했다. 앞서 러시아 전략폭격기가 한미 연합 훈련인 ‘을지 자유의 방패(을지 프리덤 실드·UFS)’ 개시 다음 날인 지난 8월 23일 동해의 카디즈에 진입해 우리 전투기들이 긴급 출동하는 일이 벌어진 적도 있다. 당시 공군은 F-16 전투기를 출격시켜 대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군용기가 카디즈에 진입한 것은 지난 5월 24일 중국 군용기와 함께 독도 동북쪽 카디즈에 진입한 지 3개월 만이었다.
중국과 러시아는 2019년 이래 매년 1회씩 총 4차례에 걸쳐 카디즈에 합동 진입했다. 이 과정에서 우리 군에 사전 통보는 없었다. 일본 군용기는 사전에 정보를 공유하면서 한·일 중첩 방공식별구역에 연 평균 500여 차례 진입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안 의원은 “우리나라는 영공 외곽으로부터 전략적 중심까지 종심 거리가 짧아 중·러 등 타국 항공기가 우리 영공에 진입한 후 대응 조처를 강구하면 너무 늦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더 한장] 시나브로 사라지는 봄의 향기
- 트럼프, 백악관內 대형 성조기 설치… “내 사비로 크고 아름답게”
- 삼성전자 공장은 용인에 생기는데, 안성이 들뜬다
- 소중한 내 차 실내 묵은때 제거하고, 외부는 반짝반짝
- 설거지 후 물기 안 말린 그 식기, 세균이 얼마나 많은지 아세요?
- 건더기가 가장 많았던 소내장탕, 2인분 같은 1인분에 7400원 특가
- 목포 갯벌에서 잡는 즉시 포장, 산낙지 한 마리 5760원 특가 공구
- 美재무, 한국과 협의 전날 “안보·시장 제공하면 방위 기여 늘려야”
- ‘보청기 대체’ 기발하다, 골전도 이어폰으로 쓰다 ‘음성 증폭기’로 변신
- [바로잡습니다] 21일 자 A18면 ‘一事一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