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금융지주, 작년 이자수익 44조9000억 달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5대 금융지주사들이 초대형 투자은행 육성방안에도 불구하고 수익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보다는 국민을 상대로 한 손쉬운 금리 장사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양 의원은 "우리나라 금융지주들이 미국의 제이피모건체이스와 같은 세계적인 금융지주사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시중금리에 종속적이며, 은행 간 차별화가 적어 경쟁 은행 대비 독보적으로 성장하기 어려운 예대마진 보다 진짜 실력을 알 수 있는 비이자이익 부분에 대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양정숙 의원 "예대마진으로 이익 극대화, 비이자수익은 제자리"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국내 5대 금융지주사들이 초대형 투자은행 육성방안에도 불구하고 수익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보다는 국민을 상대로 한 손쉬운 금리 장사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수익의 대부분을 예대 마진을 통해 거뒀고, 금융투자수익에 해당하는 비이자이익은 제자리란 설명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이 3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금융지주회사 수익 등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5대 금융지주사는 지난해 이자이익으로 44조9000억원을 벌어들였다. 반면 비이자이익으로는 9조5000억원을 벌어 이자이익이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국내 금융지주들의 수익구조는 미국 금융지주사인 제이피모건 체이스(JP Morgan Chase)가 지난해 비이자이익으로 693억3800만 달러(전체 금융수익의 57%), 이자이익으로 523억1100만 달러(전체금융 수익의 43%)를 번 것과는 대비되는 수치다.
양정숙 의원은 "그동안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은 우물 안 개구리처럼 국민의 예·적금과 한국은행에서의 기준금리 대출을 받아 예대마진을 통한 손쉬운 이자이익을 올리는 데만 집중했다"면서 "금융기관이 대출금리는 번개처럼 올리고, 예금금리 인상은 늑장을 부려 얻은 막대한 예대마진으로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고 비판했다.
양 의원은 "우리나라 금융지주들이 미국의 제이피모건체이스와 같은 세계적인 금융지주사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시중금리에 종속적이며, 은행 간 차별화가 적어 경쟁 은행 대비 독보적으로 성장하기 어려운 예대마진 보다 진짜 실력을 알 수 있는 비이자이익 부분에 대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roma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