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가스관 이어 해저 광케이블 파손할 가능성"
홍정수 기자 입력 2022. 10. 3. 03:01 수정 2022. 10. 3. 03: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가 지난달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노르트스트림 1, 2 천연가스관을 고의로 파손했다는 의혹이 커지는 가운데, 러시아가 다음 수순으로 해저 광케이블 절단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최근 우크라이나에서 밀리고 있는 러시아가 가스 수송관에 이어 서방의 또 다른 핵심 기반시설을 공격하는 식으로 판세를 뒤엎으려 한다는 것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방국가들 핵심 기반시설 노려"
英전문가 '러, 하이브리드戰' 주장
민간 소유 케이블망, 공격에 취약
러시아가 지난달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노르트스트림 1, 2 천연가스관을 고의로 파손했다는 의혹이 커지는 가운데, 러시아가 다음 수순으로 해저 광케이블 절단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최근 우크라이나에서 밀리고 있는 러시아가 가스 수송관에 이어 서방의 또 다른 핵심 기반시설을 공격하는 식으로 판세를 뒤엎으려 한다는 것이다. 해저 케이블은 대부분 공해(公海)에 있어 특정 국가가 고의로 파손하더라도 빠른 대처가 어렵고 법적 책임을 묻는 것 또한 쉽지 않다.
존 노턴 영국 오픈대 교수는 1일(현지 시간) 가디언 기고를 통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조만간 해저 광케이블을 노릴 것”이라며 “케이블망은 대부분 각국 정부가 아닌 민간기업이 소유하고 있어 안보적으로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리시 수낵 전 영국 재무장관 또한 과거 “해저 케이블망은 위치가 공개돼 있고 공격이 어렵지 않은 반면에 국제법상 보호의 범위는 모호하다”며 공격 목표가 되기 쉽다고 평했다.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은 가스관 고의 파손 같은 사보타주, 해킹, 가짜뉴스, 선거조작 등 비(非)군사적 수단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전쟁’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인물이기도 하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7개월이 지났음에도 당초 목표했던 성과를 이루지 못한 푸틴 정권이 전통적인 재래식 전쟁 대신 하이브리드전에 집중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다.
중국은 러시아의 가스관 고의 누출 의혹에 대해 “공정하고 전문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겅솽 주유엔 중국 부대사는 지난달 30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이번 누출이 불의의 사고가 아니라 고의적인 파괴에 따른 것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한다”며 “이것이 사실이면 국가 시설에 대한 기습으로 국제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말했다.
존 노턴 영국 오픈대 교수는 1일(현지 시간) 가디언 기고를 통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조만간 해저 광케이블을 노릴 것”이라며 “케이블망은 대부분 각국 정부가 아닌 민간기업이 소유하고 있어 안보적으로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리시 수낵 전 영국 재무장관 또한 과거 “해저 케이블망은 위치가 공개돼 있고 공격이 어렵지 않은 반면에 국제법상 보호의 범위는 모호하다”며 공격 목표가 되기 쉽다고 평했다.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은 가스관 고의 파손 같은 사보타주, 해킹, 가짜뉴스, 선거조작 등 비(非)군사적 수단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전쟁’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인물이기도 하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7개월이 지났음에도 당초 목표했던 성과를 이루지 못한 푸틴 정권이 전통적인 재래식 전쟁 대신 하이브리드전에 집중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다.
중국은 러시아의 가스관 고의 누출 의혹에 대해 “공정하고 전문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겅솽 주유엔 중국 부대사는 지난달 30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이번 누출이 불의의 사고가 아니라 고의적인 파괴에 따른 것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한다”며 “이것이 사실이면 국가 시설에 대한 기습으로 국제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말했다.
홍정수 기자 hong@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감사원, 文에 서해피살 서면조사 통보…文측 “수령거부” 반발
- 대기업도 비상경영… “위기 가능성 낮다” 정부 인식 한가하다
- 1주 새 미사일 7발 쏜 北… 닥쳐올 대형도발 단단히 대비하라
- “경영진 임기 보장하라”는 대우조선 노조의 기이한 요구
- 합병선언 하루만에 요충지 탈환당한 러, 핵 사용 위협 고조
- “尹 유감 표명해야” “내부 총질 안돼”…與 집안싸움으로 번져
- “기초연금 40만원으로” 여야, 모처럼 한목소리…재정 감당할 수 있나
- 인니 축구장 난동에 174명 사망…최루탄 과잉진압 논란
- [김순덕의 도발]진영논리와 조작 방송
- “물타기도 지쳤다” 개미들, 삼성전자 9월에만 2조 사들였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