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감 커지는 英..모기지 대출 중단 속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 정부가 내놓은 대규모 감세안의 후폭풍이 거세다.
금리 산정의 어려움을 이유로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중단이 속출하고 있다.
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영국 정부의 감세안 발표 이후 영국 시중은행들이 판매를 중단한 주택담보대출 상품이 1688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이고, 영국은 Fed발 공격적 긴축의 첫 번째 희생자라는 분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계 1688개 모기지 철회
S&P, 국채 등급 전망 하향
해외 연기금 투자도 급감 조짐
WSJ "英은 탄광의 카나리아
다른 나라도 같은 혼란" 경고
영국 정부가 내놓은 대규모 감세안의 후폭풍이 거세다. 금리 산정의 어려움을 이유로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중단이 속출하고 있다. 영국 기업을 인수합병(M&A)하는 사모펀드에 돈을 대겠다는 해외 큰손도 급감하고 있다. 영국 국채 금리 폭등과 파운드화 추락 등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 경제에 전이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이번 영국 사태는 다른 나라에서도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얼어붙는 영국 모기지 시장
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영국 정부의 감세안 발표 이후 영국 시중은행들이 판매를 중단한 주택담보대출 상품이 1688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26일 영국 최대 모기지 공급자인 로이드뱅킹그룹을 시작으로 버진머니, 스킵턴빌딩소사이어티 등이 대출 상품을 철회했다. 27일엔 HSBC 등이 신규 대출을 중단했다. FT는 “대형 금융회사보다 한발 앞서야 한다고 판단한 소규모 은행들의 ‘패닉 중단(철회)’ 행렬이 더해졌다”고 전했다. 네이션와이드 등 일부 금융회사는 모기지 금리를 인상했다. 시장에선 이번 사태로 영국 집값이 최대 20% 폭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같은 혼란은 영국 정부의 감세 정책때문이다. 영국중앙은행(BOE)이 물가를 잡기 위해 긴축 기조로 돌아선 상황에서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내놓자 정책에 엇박자가 났다. 파운드화 가치가 급락하고 국채 금리는 급등(국채 가격 폭락)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달 30일 영국 국채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하면서도 등급 전망은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은행들이 모기지 판매 중단 결정을 내리는 이유는 지금처럼 금리가 치솟는 상황에서는 부실이 늘어날 우려가 커서다. 주택 가격이 내리면 담보 가치가 떨어지고, 빚을 제대로 갚지 못하는 사람이 속출할 수 있다.
WSJ “또 다른 영국 나올 수도”
최근 소동으로 파운드화 가치가 사상 최저치(1파운드=1.0327달러)로 폭락한 직후 영국 누미스증권은 “파운드화 약세와 저평가된 런던증시를 악용해 영국 기업을 싹쓸이 인수하려는 해외 투기자본이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를 내놨다. 하지만 이는 기우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FT는 이날 “해외 연기금, 보험사 등 기관투자가들이 영국을 기반으로 한 사모펀드에 돈을 대는 것을 꺼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파운드화 약세 덕분에 영국 기업의 몸값이 저렴해지더라도 영국의 실물 경제가 불안정하다는 게 더 큰 문제라는 진단이다. 레이먼드제임스의 한 사모투자 전문가는 “설령 싸게 기업을 인수해도 당분간은 그 기업이 제대로 된 수익을 못 낼 것”이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영국의 지난 1주일간 소동이 다른 주요 나라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며 “영국이 재앙과 위험을 예고하는 ‘탄광의 카나리아’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사태가 ‘채권자경단(bond vigilantes)’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면 다른 선진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채권자경단은 당국의 잘못된 정책으로 금리 상승 가능성이 발생할 때 국채 대량 매도에 나서는 투자자를 말한다.
WSJ는 또 “장기적 관점에서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책(돈 풀기)과 이로 인한 추가 물가 상승 자극은 뉴노멀(새로운 표준)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이고, 영국은 Fed발 공격적 긴축의 첫 번째 희생자라는 분석이다. WSJ는 “영국은 이번 사태가 발생하기 전에도 이미 파운드화 약세, 채권 가격 급락 등의 상황을 겪고 있었다”며 “이는 다른 국가에서도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남궁민 믿길 잘 했네"…대박 조짐에 조용히 웃는 '이 회사' [최수진의 나우앤카]
- 천호동, 노후 주택가 즐비했는데…"초품아 된다" 놀라운 변신
- GTX 붙자 집값 16억까지 치솟은 아파트, 13개월 만에…
- 한때 '강남 4구'였는데…19억이던 강동구 아파트 '와르르'
- "한국 정말 큰일"…수리남·돈스파이크에 검색 '폭발'했다 [신현보의 딥데이터]
- 야옹이 작가, 웹툰 '여신강림' 완결…"하루하루 떨면서 그렸다"
- "14세 연애→2년 뒤 임신"…남친 변심 뒤 엄마 된 '18세 맘'에 "너무 세다" 하하 충격 ('고딩엄빠2')
- "늙어서 필요 無" 구준엽♥서희원, 다이아몬드 반지 교환 대신 타투 새긴 이유[TEN피플]
- [종합] 이이경, 가난 타령했다가 유재석에 쓴소리 "아버지=前 사장, 부유한 거 다 안다"
- 이상순, 제주 카페 논란에 "이효리와 무관…온전히 제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