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일주일 새 4차례 도발이어..레이건 항모에 "파철덩이" 맹비난

이종윤 2022. 10. 2. 14: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최근 일주일 새 4차례 모두 7발을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을 도발한 데 이어 2일 관영 선전매체를 동원해 한·미연합 해상훈련에 대해 맹 비난하고 나섰다.

특히 북한 이번 한·미연합 해상훈련과 한·미·일 대잠수함전 훈련에 참가한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을 "파철덩이"라며 특유의 힐난을 퍼부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 '자위적 억제력 강화' 도발 규정은 괴뢰역적패당 논리 비난
미 원자력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 사진=해군 제공
[파이낸셜뉴스] 북한이 최근 일주일 새 4차례 모두 7발을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을 도발한 데 이어 2일 관영 선전매체를 동원해 한·미연합 해상훈련에 대해 맹 비난하고 나섰다.

특히 북한 이번 한·미연합 해상훈련과 한·미·일 대잠수함전 훈련에 참가한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을 "파철덩이"라며 특유의 힐난을 퍼부었다. 북한 대외선전매체인 우리민족끼리는 2일 레이건호의 이번 한미훈련 참가에 대해 "남조선 괴뢰들이 미국의 '떠다니는 군사기지'를 조선반도(한반도)에 끌어들여 전쟁연습을 벌여놓는 건 우리 공화국(북한)의 무진 막강한 군력에 비한 저들의 군사적 열세를 만회해보자는 음흉한 타산과 미국의 핵전략 자산들에 의거해서라도 우리를 기어이 힘으로 압살해보겠단 집요한 침략 야욕의 더러운 산물"이라고 비난했다.

매체는 "괴뢰군부 호전광들이 미국과 공모 결탁해 항모 따위를 들이밀며 우리를 놀래려 하지만 어림도 없다"며 "괴뢰들이 항모 정도가 아니라 미국의 모든 핵무기들을 다 끌어들인다고 놀랄 우리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한·미연합 해상훈련(9월 26~29일) 및 한·미·일 연합 대잠훈련(9월 30일)을 전후로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일까지 일주일 새 4차례에 걸쳐 총 7발의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동해상으로 발사하는 무력도발을 감행했다. 북한은 특히 카멀라 해리스 미 부통령이 방한한 9월 29일과 우리 '국군의 날' 기념식이 열린 이달 1일에도 미사일을 쐈다. 북한 매체는 특히 레이건함과 관련, "그 어떤 '떠다니는 군사기지'도 파철덩이로밖에 보지 않는 우리 면전에서 가소롭게도 핵전쟁 불장난을 하는 괴뢰군 부호 전광들이야말로 제 살 구멍, 죽을 구멍도 가려보지 못하는 얼간망둥이들이 아닐 수 없다"고 했다.

매체는 "우릴 겨냥한 괴뢰군부 호전광들의 군사적 대결 광기는 외세 추종과 반공화국(반북) 대결에 환장해 이 땅에 검은 핵구름을 몰아오는 반민족적, 반평화적 범죄 행위이며 스스로가 제 무덤을 파는 무모한 객기"라고 주장했다.

북한의 다른 매체 통일의메아리도 '입에 칼 물고 광기를 부려대는 기형아들'이란 글에서 이번 한미연합 해상훈련을 겨냥, "도적이 도적이야 하는 격"이라며 한반도에서 높아진 긴장감의 책임을 우리나라와 미국에 돌렸다. 통일의메아리는 "조선반도 정세 긴장의 장본인이 우리 공화국에 대한 침략전쟁 연습을 미친 듯 벌려놓고 있는 미국과 남조선(남한) 괴뢰 역적 패당이라는 건 세상이 다 아는 사실"이라며 "강도가 칼을 들고 집 앞에 있는데 그걸 보고 가만히 앉아있을 주인은 없다"고 주장을 펼쳤다,
메아리는 또 "미국과 야합해 우리 공화국에 대한 침략전쟁 연습을 벌여대는 저들의 행위는 평화를 위한 것으로 되고, 내외 반공화국 세력의 전쟁책동으로부터 민족의 운명을 지키기 위한 우리의 자위적 전쟁 억제력 강화는 도발로 된다는 게 괴뢰역적패당의 논리"라며 "참으로 황당한 궤변이고 거꾸로 된 논리가 아닐 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