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테미스 발사 난항..11년 발사 공백이 발목 잡나?
[앵커]
허리케인으로 발사대에서 조립동으로 옮겨진 미국의 달 탐사 아르테미스 로켓은 앞서 2차례 기술적 문제로 발사가 연기됐습니다.
지난 2011년 우주왕복선 종료 이후 자체 설계한 로켓으로는 11년 만에 처음이라는 점에서 그간의 공백이 기술적 결함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성규 기잡니다.
[기자]
지난 27일 허리케인 북상으로 3번째 발사가 또 연기되며 조립동으로 옮겨진 미국 달 탐사선 아르테미스 1호.
기상 조건으로 연기됐지만, 새 발사 준비를 위해서는 발사체인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 SLS 로켓의 종합 점검이 불가피합니다.
우선 비행 궤도 이탈 등 유사시 로켓을 폭파해 민간의 피해를 막는 비행종단 시스템의 배터리를 새것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NASA가 배터리를 교체하면 로켓 발사장인 케네디우주센터의 안전을 담당하는 연방 우주군이 이를 점검한 후 승인합니다.
[장영근 / 한국항공대 교수 : 자기네들이(우주군이) 그 안전의 기준에 들어왔는지를 결정하는데, 거기에 플라이트 터미네이션 시스템(비행종단 시스템)의 주요안건 가운데 하나가 배터리가 충분한 충전량을 가지고 있느냐(일 것입니다.)]
또 1차와 2차 발사 취소의 원인이었던 엔진 냉각과 액체연료 누설의 정확한 경위와 대책도 마련돼야 합니다.
하지만 이 같은 기술적 점검이 녹록하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SLS 로켓은 과거 우주왕복선 발사에 쓰였던 RS-25 엔진 4개를 재활용했습니다.
엔진은 재활용했지만, 2011년 우주왕복선 발사 종료 이후 NASA가 자체 설계한 로켓 발사는 이번이 11년 만에 처음이라는 점에서 그간의 발사 중단이 기술적 단절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창진 / 건국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 그런(로켓을) 만든 기술자들, 운영했던 기술자들이 너무 갭(11년)이 오래됐으니까 그동안의 기술적 단절, 경험의 단절이 있을 수 있고, 이번에 발생한 액체 수소의 누설 문제는 아마 그런 원인이 가장 크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우주왕복선 종료 이후 NASA는 러시아 로켓에 자국 우주인을 태워 우주정거장에 보내거나 스페이스X 등 민간 기업의 로켓을 이용했습니다.
NASA 빌 넬슨 국장은 아르테미스 1호의 가장 빠른 발사 가능 시기는 10월 하순이지만, 11월 중순에 발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
YTN 이성규 (sklee9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시진핑 가택 연금설'...SNS가 떠들썩했던 이유
- 비번 경찰관 눈썰미에 전화금융사기 송금책 체포
- 테슬라,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가격 2만 달러 이하"
- 아르테미스 발사 난항...11년 발사 공백이 발목 잡나?
- '070→010 변조' 피싱 시도 5,749건...지난해보다 2배 '껑충'
- [속보] '포고령 1호' 증거조사 전 대통령 측 답변 진행 중
- "참 춥다" 美 호텔서 취임식 본 홍준표…실내 초대 불발
- "김해엔 빨갱이 많다" 발언한 국힘 의원들...논란 되자 "사과 안 해"
- [속보] 경찰, 헌법재판소 인근 윤 지지 시위대 1명 체포...경찰 폭행 혐의
- "집회 참여할 용모단정한 여학생?"…'시급 1만원' 구인글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