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도 끊지 못한 무역수지 적자, 25년만에 처음 6개월 연속 적자 기록

정세영 기자 2022. 10. 1. 10: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역수지가 6개월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9월 무역수지는 37억7000만 달러의 적자를 보이면서 지난 4월부터 이어진 적자 고리를 끊지 못했다.

6개월 이상 연속 적자는 1995년 1월∼1997년 5월 이후 처음이다.

무역수지 적자는 수출 증가율은 한 자릿수에 그친 반면 고공행진 중인 에너지 가격으로 수입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면서 이어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 남구 신선대 부두.뉴시스

무역수지가 6개월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이는 지난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25년 만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오전 9월 수출입 통계를 발표했다. 지난달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8% 증가한 574억6000만 달러, 수입은 18.6% 늘어난 612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9월 무역수지는 37억7000만 달러의 적자를 보이면서 지난 4월부터 이어진 적자 고리를 끊지 못했다.6개월 이상 연속 적자는 1995년 1월∼1997년 5월 이후 처음이다.

무역수지 적자는 수출 증가율은 한 자릿수에 그친 반면 고공행진 중인 에너지 가격으로 수입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면서 이어졌다. 한국뿐 아니라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일본, 이탈리아, 프랑스 등에서도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다만 적자 규모는 지난 8월(94억9000만 달러)과 견줘 상당폭(60.3%) 감소했다. 대중(對中)무역수지도 지난달 6억9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 5개월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수출은 23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다. 기존의 9월 최고 실적인 지난해 9월(559억 달러) 대비 15억 달러 넘게 웃돌아 9월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품목별로는 석유제품(52.7%), 자동차(34.7%), 이차전지(30.4%) 수출이 9월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선박(15.5%)과 차 부품(8.7%) 수출도 늘어 15대 수출 주요 품목 가운데 5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세계경기 둔화 등에 따른 수요 약세로 반도체(-5.7%), 무선통신(-7.0%), 유화(-15.1%) 등은 감소했다.

주요 수출국 9개 지역 가운데 미국(16.0%), 인도(8.5%), 아세안(7.6%), 일본(2.5%) 등 5개 지역의 수출이 증가했다. 그러나 성장세 회복이 지연되는 중국과 에너지 수급 차질 등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확산 중인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은 각각 6.5%, 0.7% 떨어졌다.

수입은 7개월 연속으로 600억 달러 대를 기록했다. 대규모 에너지 수입 등의 영향으로 원유, 가스, 석탄 수입액이 전년 동월 대비 80억5000만 달러 증가한 179억6000만 달러로 81.2%나 늘어났다.

정세영 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