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後스토리]막말 논란에 가린 카이스트 50년의 쾌거..뭉클한 '역진출'

김승준 기자 2022. 10. 1.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後(후)스토리'는 이슈가 발생한 '이후'를 조명합니다.

이후 미국 국제개발처(US AID)의 교육 차관 제공 결정과 실사가 이어졌고 카이스트의 전신인 한국과학원(KAIS)이 1971년 설립됐다.

카이스트는 이번에 조성된 협업공간으로 기본적인 캠퍼스 모습을 갖추고, 향후 산학협력 캠퍼스인 '카이스트 뉴욕 캠퍼스'(KAIST New York Campus)로 발전시킬 구상을 가지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원조 자금으로 세워진 카이스트..50여년 지나 뉴욕 진출 본격화

[편집자주] '後(후)스토리'는 이슈가 발생한 '이후'를 조명합니다. 쏟아지는 뉴스 속에 묻혀버린 '의미'를 다룹니다. 놓쳐버린 뉴스 이면의 '가치'를 되짚어봅니다 [편집자 주]

왼쪽부터 이장우 대전시장, 카이스트 이광형 총장, 윤석열 대통령, 뉴욕대 린다 밀스 수석 부총장, 앤드루 해밀턴 뉴욕대 총장.(대전시 제공) / News1 김경훈 기자

(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미국의 국제 원조로 세워진 대학이 50여년이 지난 후 미국으로 '역진출'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의 이야기다.

지난 21일(현지시간) 카이스트는 미국 뉴욕시 뉴욕대학교(NYU) 킴멜센터에서 뉴욕시와 협력 협정을 체결하고, 카이스트-뉴욕대 공동캠퍼스(KAIST NYU Joint Campus) 현판전달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뉴욕대 주관 '디지털 비전 포럼'의 1부였다. 당초 윤석열 대통령은 이 행사에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결국 대통령의 일정이 변경돼 행사가 치러졌다.

윤석열 대통령은 다른 일정을 소화하고 뉴욕대로 향해 '디지털 비전 포럼'의 2부 행사에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연설 후 윤 대통령은 재미 한인 과학자들과 환담을 나누고 기념 촬영을 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카이스트와 뉴욕대의 협력에 관심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의 행보 하나하나가 크게 기사화되는 미국 순방 과정에서 이번 일정은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바로 대통령의 '막말 논란'의 발단이 되는 문제의 발언이 나온 그날이었기 때문. 이날 세간의 관심은 대통령의 입으로 쏠렸다.

카이스트는 △한국 최초의 독자 개발 위성 '우리별 2호' △한국 최초의 인터넷 구축 등과 같은 최초의 기록뿐 아니라 과학기술인을 길러내고 과학기술을 발전시켜 사회와 인류에 기여를 해오고 있다.

지금은 화려한 모습을 가진 카이스트지만 처음에는 미국의 원조로 첫발을 뗄 수 있었다.

카이스트 설립은 1969년 미국 뉴욕공과대학교 부교수로 일하던 정근모 박사의 구상에서 비롯됐다. 정 박사는 미국 국무부에서 국제협력처 책임자로 임명된 존 해너 박사로부터 개발도상국 대상 원조 아이디어 제안을 요청받았다.

정 박사는 한국 내에 석·박사 양성을 위한 질 좋은 대학원이 필요하다는 아이디어와 사업 제안서를 미국 국무부와 주미 한국대사관에 제출했다. 이후 미국 국제개발처(US AID)의 교육 차관 제공 결정과 실사가 이어졌고 카이스트의 전신인 한국과학원(KAIS)이 1971년 설립됐다.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 총장(왼쪽)과 앤드류 해밀턴 미국 뉴욕대학교 총장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2022.09.22. /뉴스1

미국의 도움으로 만들어진 카이스트가 50년 동안 성장해, 미국으로 '역진출'하게 된 것이다.

21일 대통령의 막말 논란에 가려 잘 보이지 않았지만, 카이스트의 미국 진출을 알리는 이날의 행사는 한국 과학기술계의 발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카이스트와 뉴욕대학교는 뉴욕대의 우수한 기초과학 및 융합연구 역량과 카이스트의 과학기술 역량을 결합해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중심의 혁신적인 캠퍼스를 건설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우선 2023년 상반기부터 양교는 인공지능(AI) 사이언스, AI융합뇌과학, AI 응용 사이버 보안, 디지털 정보보안, 지속가능한 첨단 스마트 도시·환경 등에 중점을 두고 공동 연구에 들어간다.

또 카이스트에 따르면 양교는 학생 및 교원 교환 프로그램을 현재 논의 중이기도 하다.

카이스트는 이번에 조성된 협업공간으로 기본적인 캠퍼스 모습을 갖추고, 향후 산학협력 캠퍼스인 '카이스트 뉴욕 캠퍼스'(KAIST New York Campus)로 발전시킬 구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사전 타당성 조사를 통한 계획의 구체화, 추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이사회 심의 의결 등 관련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seungjun24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