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와 함께 살아가려면 눈앞의 행복에 집중하라

윤수정 기자 2022. 10. 1. 03: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

웬디 미첼 지음|문예춘추사|260쪽|1만6000원

“치매에 걸리셨습니다”. 이 소리를 들은 직후라면 세상이 끝난 것만 같을 것이다. 그러나 더 힘든 순간은 다음 날 아침에 올지도 모른다. ‘오늘부턴 치매와 함께 일상을 살아내야 한다’는 사실을 마주했을 때 말이다.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은 그 순간을 견디며 저자가 치매와 함께 보내 온 일상을 세세히 기록한 것. 20여 년 동안 영국국민의료보험(NHS)에서 일해온 저자는 2014년 58세란 이른 나이에 ‘조기 발병 치매’를 진단받았다. 병증이 심해지면서 말을 하기 어려워진 저자에게 글쓰기는 다소 병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를 줬지만 “정상적인 문장”을 만들며 스스로 위안을 얻는 탈출구이기도 했다.

저자는 특히 ‘치매 진단’에는 관심이 크지만, “치매 진단 후에도 즐길 수 있는 삶”에는 무관심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물론 저자 역시 치매로 인해 포크질이 서툴러져 음식을 질질 흘리는 순간이, 길조차 혼자 찾기 어려워진 자신이 창피할 때가 있었다. 그럼에도 저자는 치매로 인한 불편함을 우리가 이미 지나온 ‘어린 시절의 서투름’에 비유하며 당장 눈앞의 행복에 집중하라고 조언한다. 오늘 치매에 걸려도, 우리는 또 다시 내일의 삶을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