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in] 고령 환자, 음식 잘 씹지 못하면 치매 걸릴 위험 커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0세 이상 고령 환자가 음식을 잘 씹지 못하면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음식물을 씹는 능력이 떨어지면 뇌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줄어들 수 있기에 임플란트와 보철 치료로 저작(咀嚼)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는 게 연구팀의 주장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0세 이상 고령 환자가 음식을 잘 씹지 못하면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음식물을 씹는 능력이 떨어지면 뇌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줄어들 수 있기에 임플란트와 보철 치료로 저작(咀嚼)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는 게 연구팀의 주장이다.
차재국ㆍ박진영ㆍ고경아 연세대 치대 치주과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고령 환자가 이를 뽑은 뒤 임플란트 등의 치아 복구 조치를 취하지 않고 빈 곳을 방치해 씹는 능력이 떨어지면 치매 발생 위험이 커진다고 30일 밝혔다.
음식물을 씹는 저작 능력이 떨어지면 뇌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줄어들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식물이 잘게 쪼개지지 않아 영양소가 체내에 잘 흡수되지 못하고, 잇몸 등으로 들어간 음식물이 썩어 만성 치주염 등을 일으켜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치아 상실과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2014~2020년 연세대 치대병원에서 진료받은 이력이 있는 60세 이상의 환자 488명(치매군 122명, 대조군 366명)을 대상으로 치아 상실과 치매 발생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조사 대상 488명은 2005~2010년 처음 내원했다가 다시 병원을 찾은 환자들로 초진 당시에 치매를 앓던 환자는 없었다.
두 시험 군의 저작능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소실 치아 개수와 치아 복구 조치 비율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치매군에서 감소한 평균 치아 개수는 6.25개로 대조군(4.53개)보다 더 많았다.
발치 뒤 복구하지 않고 치아의 빈 곳을 그대로 방치한 비율도 치매군에서 높았다. 치매군에서 소실 치아 방치 비율은 56.48%였지만 대조군에서는 42.6%였다.
치매가 발병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발치 등으로 치아를 잃으면 임플란트·보철 치료로 빈 곳을 메워 저작 능력을 보존한 경우가 77.48%로 치매군(66.56%)보다 더 많았다.
차재국 교수는 “노화에 따라 자연 소실, 발치 등으로 치아를 잃기 쉽지만 그대로 방치하면 음식을 잘 씹지 못하게 된다”며 “저작 능력 저하와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임플란트와 보철 치료로 저작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연세대 의대에서 발간하는 종합 의학 학술지 ‘연세의학저널(YMJ)’ 최신 호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세상 밖으로 나가고 싶어요"... 유리방에서 쪽방까지 34년
- 무릎 꿇고 비는 아이... '가족 예능'에 가족이 멍들다
- 박민영, 열애설 이틀만에 "결별했다"…이정재·정우성도 선긋기
- '소련 부활' 꿈꾼 푸틴, 우크라 점령지 합병....핵전쟁 위험 커졌다
- 실종된 대구 50대 여성, 알고 보니 남편이 살해…시신까지 불태워
- 北 도발에 경고장… 美 특전사 '티크 나이프' 훈련 공개
- '마약 무혐의' 이상보 "고통스러운 그날의 기억...나처럼 억울한 사람 없어야" [인터뷰]
- 전기·가스료 10월부터 월 7670원 인상… 올해 약 1만7000원 올라
- 백종원과 예산군의 '변화 레시피'… 썰렁한 전통시장 확 바꿀까
- '계곡 살인' 이은해 "죽이지 않았다"... 검찰은 무기징역 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