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불안' 두려움에 널뛰기..코스피 또 연중 최저

김기송 기자 2022. 9. 30. 18:1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9월 마지막 거래일이던 오늘(30일)도 주식시장이 큰 변동성을 보이며 불안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코스피는 이제 2,100선 사수도 걱정하는 상황으로 몰렸는데, 문제는 앞으로 전망도 밝지 않다는 겁니다. 

김기송 기자, 증시가 오늘도 오르락내리락하면서 투자자들의 속을 시커멓게 태웠어요? 

[기자] 

그렇습니다. 

변동성이 매우 컸던 하루였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장이 열리자마자 개인의 매도세에 끌려내려 가면서 2,140선이 무너지기도 했습니다. 

저점을 경신한 코스피는 기관이 1천억 원 넘게 사들이면서 장중 반등을 시도했지만, 위축된 투자심리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2,155선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 또한 종가 기준 연 최저치입니다. 

미 연준의 긴축 부담과 경기침체 우려 등 불확실성 요인들이 시장을 억누르며 반등이 쉽지 않았습니다. 

코스닥은 0.36% 하락한 672.65에 거래를 마쳤고, 원·달러 환율은 8.7원 내린 1,430원 20전에 마감했습니다. 

[앵커] 

9월 한 달은 떨어졌단 소식만 전해드렸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어떻습니까? 

[기자] 

이달 들어서만 코스피는 13% 가까이 빠졌습니다. 

지난 6월 13.15% 하락한 이후 올해 두 번째로 큰 하락 폭인데요.

코스닥은 16% 넘게 하락했습니다. 

매파 기조를 고집하는 미국 정책에 전 세계 통화가 약세를 보였고, 경기 침체 우려로 미국 기업 실적에 경고등이 들어온 영향이 컸습니다. 

문제는 적어도 올해 말 혹은 내년 상반기까지는 이런 분위기가 지속될 것이라는 겁니다. 

[정명지 /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 : 영국 파운드화 발 외환위기라고 표현될 정도로 외환시장이 흔들렸던 요인이 있었고, 테슬라와 애플까지 실적 둔화 리스크가 부각된 두 가지가 해소 혹은 완화가 돼야 시장 반등이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세계 국채지수(WGBI)에 한국이 관찰대상국으로 이름을 올리면서 외국 투자자금이 최대 90조 원가량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SBS Biz 김기송입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