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진용 기자의 엔터 톡>'나쁜 기적'이 더 많은 세상

안진용 기자 2022. 9. 30. 11: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8월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놉'은 올해 본 영화 중 가장 흥미로웠습니다.

앞선 영화 '겟 아웃'과 '어스' 등으로 인종 문제와 인간의 심연을 깊게 들여다본 조던 필 감독은 이 영화에서 의미심장한 질문을 던지죠.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대중은 굉장히 기쁜 일이 생겼을 때 주로 "이건 기적"이라고 외치죠.

이 영화는 이런 나쁜 기적을 소비하는 방식에도 문제를 제기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놉’은 올해 본 영화 중 가장 흥미로웠습니다. 앞선 영화 ‘겟 아웃’과 ‘어스’ 등으로 인종 문제와 인간의 심연을 깊게 들여다본 조던 필 감독은 이 영화에서 의미심장한 질문을 던지죠.

“‘나쁜 기적’(bad miracle)도 있을까?”

이 영화의 상상력은 기발합니다. 우리가 통상 UFO라 부르는 것의 정체가 사실은 비행물체가 아니라 원형의 괴생명체라는 것이죠. 구름인 척 위장한 채 숨어있다가 인간 사냥에 나서는 식인데요. 엄청난 힘으로 지상의 물체를 흡입한 후 소화 안 된 물체는 뱉어내는데, 이렇게 하늘에서 내뱉은 동전에 맞아서 주인공의 아버지가 사망하죠. 그야말로 기적과도 같은 확률입니다.

이 영화를 보며 궁금해졌습니다. 왜 대중은 ‘기적’을 주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기억할까요? 기적은 ‘기이할 기’(奇)와 ‘발자취 적’(跡)이 합쳐진 단어죠. 사전적 의미는 ‘상식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기이한 일’입니다. 그 기이한 일이란 부정적일 수도 있고, 긍정적일 수도 있는데요.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대중은 굉장히 기쁜 일이 생겼을 때 주로 “이건 기적”이라고 외치죠.

따지고 보면, 뉴스에서 다루는 일은 주로 ‘나쁜 기적’입니다. 나를 쫓던 스토커가 흉기를 휘두르고, 길을 걷다가 묻지마 폭행을 당하고, 갑자기 쏟아진 폭우에 도시 한복판에서 고립될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에이 설마’라 할 정도로 드문 일이지만, 뉴스를 보면 지금 이 순간도 이런 ‘나쁜 기적’을 다룬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죠.

이 영화는 이런 나쁜 기적을 소비하는 방식에도 문제를 제기합니다. ‘내가 또 가증하고 더러운 것들을 네 위에 던져 능욕하여 너를 구경거리가 되게 하리니’라는 구약성경 나훔 3장 6절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이 영화는 ‘구경거리’에 주목합니다. 영화 속 괴생명체는 자신을 쳐다보고, 카메라에 담으려는 이들을 공격하죠. 즉, 구경거리로 삼으려는 이들을 향해 분노를 표출하는 셈인데요. 그래서 ‘놉’은 궁극적으로 스마트폰과 SNS 등에 집착하며 집단 관음증에 빠진 이들에게 경종을 울립니다.

로또 1등 당첨 확률은 800만분의 1이라고 하죠. 그렇다면 우리가 이런 ‘나쁜 기적’의 당사자가 될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생각만 해도 섬뜩한데요. 그런 일이 원치 않는 당신이라면, 타인이 겪는 ‘나쁜 기적’을 구경거리나 흥미거리로 삼는 행위 또한 삼가야 하지 않을까요?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