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청년층 전세보증금이 위험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고가 크게 늘어 올해 5500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 청년층의 피해가 두드러진다.
피해액으로도 20대 1026억원, 30대 2442억원으로 전체의 62%나 된다.
이는 20·30세대가 아직 주택을 마련하지 못한 전세입자가 많은데다, 원룸, 빌라 등 상대적으로 전세사고 위험에 취약한 주거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고비중 62% 차지..증가세도 빨라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고가 크게 늘어 올해 5500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 청년층의 피해가 두드러진다.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의원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주택금융공사, SGI서울보증 등 3개 전세보증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전세보증 대위변제 현황’에 따르면, 올해 1~7월 이들 기관이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대위변제한 건수는 5534건, 금액은 5549억원이었다. 대위변제 규모가 역대 최대 수준이었던 지난해 연간 대위변제 건수가 8314건, 금액은 7676억원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집계기간 대비 대위변제 건수가 14%, 대위변제 액수는 24%가 늘었다. 대위변제 규모 증가는 최근 전세보증을 이용한 전세사기가 증가하고,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깡통전세(전세가가 집값보다 높은 전세)가 늘어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특히 청년층의 대위변제 피해규모가 크다. 20대의 대위변제 건수는 918건, 30대는 2065건으로 20·30이 전체의 절반 이상이다. 피해액으로도 20대 1026억원, 30대 2442억원으로 전체의 62%나 된다. 올해 증가세도 이들 세대에서 더 가파르다. 이는 20·30세대가 아직 주택을 마련하지 못한 전세입자가 많은데다, 원룸, 빌라 등 상대적으로 전세사고 위험에 취약한 주거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김성훈 기자
paq@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현무와 이별' 이혜성 "방송 떠나 다른 일할 수도"…인생 2막 언급
- 오은영에 “정신적 문제 많다”한 돈스파이크…‘심신미약’ 감경 노렸나
- “男승무원도 원하면 하이힐에 치마” 항공사의 파격 정책
- “당근마켓 중독, ‘벼락거지’ 될까봐 끊었어요” 떠나는 사람들
- 박민영, 은둔 재력가와 연애중?…“이별한 상태·금전 제공 없어”
- 7년전 살해된 아들, 엄마가 연못 물 다 퍼내 시신 찾았다
- 이정재·정우성 "박민영 열애설 난 강모씨 회사 투자? 일면식도 없다”
- “담뱃값 대신 복권 샀는데”…연금복권 1·2등 동시 당첨
- “평균 연봉 9000만원, 실화냐?” 김 대리, 이직한 이유 있었네
- "아이 깨면 환불"…황당 배달요청에 주문 취소로 맞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