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가스관 누출' 배후로 美 지목..푸틴 "국제적 테러 행위"

박가영 기자 2022. 9. 30. 07: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해저 가스관에서 연이어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한 것을 두고 국제적 테러라고 비판했다.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다면 노르트스트림2는 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가스관 폭발과 관련해 해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AFPBBNews=뉴스1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해저 가스관에서 연이어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한 것을 두고 국제적 테러라고 비판했다. 서방은 이를 러시아의 '사보타주'(Sabotage·고의적 파괴행위)로 의심하고 있는데, 러시아는 오히려 미국을 배후로 지목하고 있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이번 가스관 누출 사고와 관련해 "이처럼 전례 없는 사보타주는 국제적 테러 행위"라고 말했다.

앞서 크렘린궁과 외무부도 이번 사건의 배후를 미국으로 지목하며 "테러 행위"라고 비난한 바 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 "국가 차원의 테러 행위로 보인다"며 "어떤 국가의 개입 없이 이런 테러가 일어났다고 상상할 수 없다. 시급한 조사가 필요한 극도로 위험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다면 노르트스트림2는 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가스관 폭발과 관련해 해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난 26~27일 스웨덴과 덴마크의 배타적경제수역(EEZ)을 지나는 노르트스트림1·2에서 폭발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는 가스 누출 사고 3건이 연이어 발생했다. 노르트스트림 운영사인 노르트스트림 AG는 "동시에 가스관 3개가 망가진 것은 전례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29일 스웨덴 언론은 자국 해안경비대를 인용해 노르트스트림2 가스관에서 4번째 누출 위치를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노르트스트림은 발트해를 통해 독일과 러시아를 직접 잇는 해저 가스관이다. 노르트스트림1은 2012년 가동을 시작했으며, 독일과 러시아는 2018년부터 그 바로 옆에 노르트스트림2 건설 공사를 시작했다. 노르트스트림2는 지난해 공사가 끝났지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독일이 가스관 승인 절차를 중단했다.

일(현지시간) 덴마크 보른홀름 인근에서 덴마크 F-16 전투기가 포착한 노르트스트림 2 가스관 누출 현장/AFPBBNews=뉴스1

서방은 이번 사건을 고의적인 공격으로 보고 러시아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이 사고가 고의적인 행동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는 게 당국의 분명한 평가"라고 말했다.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스웨덴 총리도 "사보타주에 의한 것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폴란드 총리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자세히 알진 못하지만 우크라이나 사태가 격화하는 것과 관련한 사보타주임은 분명해 보인다"고 동조했다.

다만 배후에 대한 공개적인 언급은 꺼리고 있다. 미국도 사보타주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아직 명확히 확인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뉴욕타임스는 가스관을 파괴해 러시아가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불확실하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자국산 에너지를 무기화한 러시아가 유럽 압박 카드인 가스관을 스스로 파괴했을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다.

이번 사고는 기후변화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AP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최악의 시나리오대로 라면 유출된 가스는 7억7800만㎥에 달하며, 이를 통해 바다와 대기에 50만톤의 메탄가스가 배출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노르트스트림 누출 관련 조사와 복구 작업은 빨라도 다음 주가 돼야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수리에는 수개월 이상 소요될 것으로 관측된다.

[관련기사]☞ 곽도원, '만취 운전' 적발 장소 공개…"큰 사고 이어질 뻔" 왜?무대 난입해 씨엘 껴안은 男관객…대학축제 경호 구멍 또 뭇매박수홍, 사망보험 8개에 '14억' 썼다…"매달 1155만원 납입"1억 코트에 10억 보석…'재벌 엄마' 박준금, 남다른 협찬 수준H.O.T. 출신 이재원, 갑상선암 투병 고백→사업가 변신 근황
박가영 기자 park0801@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