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소말' 힐링 코드에도 1% 제자리걸음, KBS 처참한 성적표[TV보고서]

이하나 2022. 9. 30. 05: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당신이 소원을 말하면'이 시청률 반등을 이루지 못하고 아쉽게 퇴장했다.

극이 전하는 따뜻한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당신이 소원을 말하면'은 시청률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이로써 KBS 2TV는 '학교 2021', '너에게 가는 속도 493km', '징크스의 연인'에 이어 '당신이 소원을 말하면'까지 수목드라마 시청률 부진의 늪을 벗어나지 못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엔 이하나 기자]

‘당신이 소원을 말하면’이 시청률 반등을 이루지 못하고 아쉽게 퇴장했다.

KBS 2TV 새 수목드라마 ‘당신이 소원을 말하면’(극본 조령수, 연출 김용완)은 9월 29일 16회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당신이 소원을 말하면’은 삶의 끝에 내몰린 위태로운 청년이 호스피스 병원에서 사람들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며 아픔을 치유해가는 힐링 드라마로, 말기 암 환자들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는 네덜란드의 실제 재단에서 모티브를 얻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교도소 출소 후 우연한 사고로 호스피스 병원에서 사회봉사를 시작하게 된 혈혈단신의 윤겨레(지창욱 분)가 그곳에서 만난 봉사 조직 ‘팀 지니’ 일원으로 시한부 환자들의 마지막 소원을 이뤄주는 이야기가 중심으로 펼쳐졌다. 삶에 대한 의욕이 없던 인물이 진정한 행복을 꿈꾸게 되는 서사를 따뜻하게 풀어냈다.

29일 방송된 최종회에서는 죽음을 앞둔 강태식(성동일 분)이 마지막 소원으로 팀 지니 사람들과 새롭게 태어난 윤겨레의 첫 생일을 열어주는 모습이 공개돼 감동을 선사했다.

극이 전하는 따뜻한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당신이 소원을 말하면’은 시청률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1회 시청률 3.6%(이하 닐슨코리아 전국 가구 기준)로 시작한 이 작품은 4회까지 계속 시청률이 하락했고, 14회에서는 1.6%까지 떨어졌다. 신드롬에 가까운 인기를 누렸던 ENA 채널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지난 8월 18일 종영한 후 1.9%에서 2.9%로 상승하며 뒷심을 발휘하는 듯 했으나, 시청률은 1~2%대를 맴돌았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기세에 밀려 초반에 관심을 모으지 못했던 것도 요인 중 하나지만, 시청률 부진의 가장 큰 이유는 시한부 환자, 호스피스 병원 등 죽음과 직결된 소재가 시청자들을 이끌지 못했다. 여기에 윤겨레를 향한 강한 집착을 보였던 하준경(원지안 분)와 병원 403호에 입원해 있던 윤겨레의 아버지 윤기춘(남경주 분) 서사가 극에 무거운 분위기를 더했다.

‘힐러’ 이후 7년 만에 KBS에 돌아온 지창욱은 제작발표회 당시 “처음 대본을 받고 많은 생각이 들었다. 내 모습이기도 했고, 누군가의 이야기이기도 했던 대본이었다”라고 캐릭터에 대한 애정을 밝혔고, 김용완 연출도 작품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로 아픈 과거가 있는 윤겨레의 성장 과정을 꼽았다.

작품 속 윤겨레는 성장했지만, 작품의 성적표는 씁쓸하다. 이로써 KBS 2TV는 ‘학교 2021’, ‘너에게 가는 속도 493km’, ‘징크스의 연인’에 이어 ‘당신이 소원을 말하면’까지 수목드라마 시청률 부진의 늪을 벗어나지 못했다.

‘당신이 소원을 말하면’ 후속으로는 엑소 도경수와 ‘신사와 아가씨’로 주목받은 이세희가 주연으로 나서는 ‘진검승부’가 10월 5일부터 방송 된다. 시청률 침체기를 걷는 KBS가 2022년 마지막에는 웃을 수 있을 것인지 관심이 모아진다.

(사진=에이앤이 코리아 라이프타임)

뉴스엔 이하나 bliss21@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