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추천작1

정인덕 기자 2022. 9. 29. 19: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의 공식 선정작은 71개국 242편이다. 지난해 70개국 223편보다 확대됐고, 어느 때보다 수준 높고 풍성한 작품들로 채웠다. BIFF 프로그래머들은 “지난해 작품이 ‘대박’이라고 말했는데, 그보다 더 좋은 작품들을 선정했다. 프로그래머들이 관객과 함께 나누고픈 작품을 위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괴인


# 왕따·강도사건 등 묵직한 주제…독창성 두드러져

■ 정한석-한국

올해는 신인감독의 영화에서 독창성과 다양성이 두드러진다. 뉴 커런츠의 두 작품이 올해 경향을 가장 잘 드러낸다.

★괴인(이정홍/대한민국)은 영화의 리듬과 정서적 흐름이 독특하다. 이야기 자체는 평이하다 볼 수 있지만, 영화를 다 보고 나면 기이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지옥만세(임오정/대한민국)는 소재와 전개 과정이 특히 좋다. 왕따를 겪은 두 여고생이 가해자에게 복수하러 떠나는 내용이다. 하지만 가해자가 종교에 귀의해 변해버린다. 그 과정에서 피해자가 겪는 고민을 담았다. 가장 힘줘 말하고 싶은 부문은 신설된 ‘한국영화의 오늘-스페셜 프리미어’ 섹션이다.

★20세기 소녀(방우리/대한민국)는 넷플릭스가 제작한 작품으로 김유정 변우석 박정우 노윤서 배우가 출연한다. 1999년 고등학생을 풋사랑을 다뤘다. 그 시절 사랑했던 분은 향수에 젖을 것이다.

★소년들(정지영/대한민국)은 CJ의 공동제작 작품으로 한 시골에서 일어났던 실화인 강도치사사건의 재수사를 영화화 했다. 설경구 유준상 허성태 염해란 진경 이 출연한다. 한 인간에 대한 예의, 정의 같은 부분을 진솔하게 풀어낸다.

★다음 - 소희(정주리/대한민국)를 추천한다. 사회 문제를 감성적이면서 예리하게 설득시킨다.

# 참혹한 내전 속 소년과 소녀…이라크 쓰레기산 이야기

■ 남동철-일본·서아시아

개·폐막작이 각각 이란과 일본의 작품이다. 올해는 서아시아에서 이란 영화가 강세다.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두 편이 선정됐다. 베니스 경쟁부문에도 두 편이 뽑혔다. 세계적인 영화제에서 두 편씩 초청되는 것은 드문 일이다.

추방된 사람들


이란 영화 중에선 ★라이프&라이프(알리 가비탄/이란)를 추천한다. 작고 고요하지만 큰 울림을 가진 영화다. 시골마을 선생님이 온라인 수업에 빠진 학생을 직접 찾아가는 내용이다. ★추방된 사람들(수다드 카아단/영국·시리아·프랑스)도 추천한다. 내전 탓에 천장에 구멍이 뚫리고 그곳으로 밧줄과 함께 소년이 소녀를 부른다. 소녀와 소년의 놀이가 전쟁 상황과 대비된다. 참혹한 상황 속 순수한 부분을 그린다.

★공중정원(아메드 야신 알 다라지/시리아)은 전쟁이 끝난 이라크의 쓰레기 산에 있는 섹스돌의 이야기를 담았다. 극한의 상황에서 인간의 더러운 욕망을 그렸다.

★플랜75(하야카와 치에/일본)는 가상의 미래에 75세 노인을 국가가 안락사 시켜준다는 설정을 담았다. 한국에서도 주목되는 고령화 사회 문제이기에 국내에서도 반향을 일으킬 수 있다.

# ‘기괴함의 대가’ 크로넨버그 등 믿고 보는 거장 작품들

■ 박도신-미주·영어권

거장들의 작품 중 ★아마겟돈 타임(제임스 그레이/미국)을 추천한다. 100% 감독의 경험은 아니지만 일부 자신의 이야기를 토대로 만든 자전적 작품이다. 인종차별 같은 사회적 이슈가 주제로 등장할 뿐만 아니라 출연진도 탄탄하다. 앤소니 홉킨스, 앤 해서웨이가 주연을 맡았다.

애프터썬


★미래의 범죄들(데이빗 크로넨버그/캐나다·그리스·프랑스·영국)도 눈길을 끈다. 데이빗 크로넨버그는 기괴함의 대가다. 이번 작품에서는 그 기괴함을 집대성한 느낌이다. 대형 화면으로 크로넨버그의 작품을 감상할 기회는 흔치 않다. 크로넨버그의 팬이라면 놓칠 수 없는 작품이다.

★이니셰린의 밴시(마틴 맥도나/아일랜드·영국·미국)는 감독을 거장의 반열에 올릴 수 있는 작품이다. 가장 특이하면서도 인상 깊은 영화다. 별 것 없는 스토리라인이지만 긴장감과 흡인력이 상당하다. 아카데미상까지 노려볼 수 있지 않을까 예측한다.

거장의 작품은 아니지만 ★애프터썬(샬롯 웰스/영국·미국)도 인상 깊었다. 성인이 된 여성이 아빠와의 터키여행을 회상하는 영화다. 처음부터 끝까지 회상 장면이다. 감동적인 작품이다.

# 유머러스하게 풀어낸 인종차별…가족영화 애니도

■ 서승희-서·중유럽, 아프리카

유럽의 영화 강국이 다수 포함돼 편수가 37편으로 상당히 많은 편이다. 특히 올해는 갈라 프레젠테이션의 초청작 두 편이 모두 유럽에서 나왔다.

블랙파라오, 숲속의 남자, 그리고 공주


갈라 프레젠테이션에 초청된 ★노바디즈 히어로(알랭 기로디/프랑스)를 추천한다. 유머러스하게 프랑스 곳곳에 깔린 인종차별 클리셰를 풀어냈다. 주인공 메데릭이 이성에게 구애하는 동안 테러 사건이 일어난다. 범인이 아랍인일 것이라 예상하는 와중에 메데릭은 우연히 아랍인에게 방 한 칸을 내어주게 된다. 사건의 전개 속에서 주인공의 고민을 담았다.

유럽의 애니메이션 작품 ★블랙 파라오, 숲속의 남자, 그리고 공주(미셸 오슬로/프랑스·벨기에)도 가족이 함께 보기 좋은 영화다. 3가지 이야기가 섞인 작품이다. 주인공이 모두 불의에 맞서 싸운다. 명화들이 눈 앞에서 움직이는 느낌이다.

★여덟 개의 산(펠릭스 반 그뢰닝엔, 샤를로트 반더미르히/이탈리아·벨기에·프랑스)도 꼭 관람했으면 좋겠다. 여성을 앞세우는 영화가 많은데 남성의 우정을 다뤘다. 10대 초반에 만난 두 친구의 이야기다. 영화를 보고 나면 마음이 맑아지고 생각이 많아진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