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과학이지(easy)] "소행성을 막아라"..인류 첫 지구 방어 실험 '성공'
[KBS 대전] [앵커]
어려운 과학 뉴스를 쉽게 풀어보는 ‘이게 과학easy’ 순서입니다.
우리 시각으로 지난 27일 지구에 충돌하려는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기 위한 인류 최초의 지구 방어 실험 첫 단계가 성공을 거뒀는데요.
이 실험에 자세한 내용과 의미, 한국천문연구원 김명진 선임연구원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사실 영화에서만 좀 보는 장면인 것 같은데 이 발사체를 소행성에 충돌시키는 거 어떻게 보면 좀 간단해 보이는데 이게 사실 굉장히 어려운 기술이라고 들었습니다.
얼마나 어려운 건지 비유를 해주신다면요?
[답변]
사실 다트 탐사선은 초속 한 6km 정도의 속도로 소행성에 충돌했습니다.
이를 시속으로 환산하면 2만 2천km 즉 총알의 한 10배 정도인데요.
총알보다 훨씬 빠르게 움직이는 소행성을 총알의 10배 속도로 충돌한다는 것은 사실 상상하기도 어려운 기술이죠.
[앵커]
총알을 맞춘다는 것보다 더 어렵겠네요.
날아오는 총알을 총으로 쏴서 맞춘다는 것보다 어렵다.
[답변]
네, 맞습니다.
더군다나 총알 바로 옆에 있는 파편, 그러니까 디디모스 주변을 돌고 있는 디모코스라는 위성을 맞춘 거니까 실제로 더 어려운 기술입니다.
[앵커]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지금 우리가 맞춘 것이 2개의 소행성, 쌍성처럼 돌아가는 소행성 중에 더 작은 것을 조준해서 맞추는 거로 저희가 알고 있습니다.
이것도 다 이유가 있다고요?
[답변]
네, 맞습니다.
모 소행성인 디디모스는 크기가 한 600~700m 정도 되고요 디모코스, 그 디디모스를 공전하고 있는 디모코스는 한 160m 정도 됩니다.
작은 크기의 소행성에 타깃을 정한 이유는 좀 더 효율적으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서 그렇게 된 거고요.
더군다나 충돌 이후에 공전 궤도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광도곡선이라는 관측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요.
그럴 때는 쌍소행성의 작은 위성을 충돌시키는 것이 훨씬 더 좋은 결과, 좀 더 명확한 결과를 얻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앵커]
조금 어려운데 작은 행성을 작은 소행성이 충돌을 시켜서 그 소행성에 미묘한 변화가 생기면 전체적인 쌍성의 궤도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이런 말씀이신가요?
[답변]
그건 아니고요.
저희가 지상에서 관측할 때 작은 크기의 위성이 실제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큰 소행성의 자전에 따른 밝아졌다 어두워졌다 하는 광도곡선.
[앵커]
그러니까 작은 소행성이 가릴 때마다.
[답변]
네, 맞습니다.
가릴 때마다 조금 더 어려워지는 그런 식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공전 궤도가 바뀌게 되면 그 식 현상이 또한 위치가 변하게 되게 되는 거죠.
[앵커]
일단 충돌까지는 성공을 했는데 이게 실제 궤도가 바뀌어 지는지, 바뀌는지 이걸 확인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는데 왜 그런 건가요?
[답변]
지금 현재 다트 프로젝트팀 내부적으로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는 한 2주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충돌하는 순간에 영상을 보셨으면 아시겠지만 먼지 같은 것이 이렇게 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그렇게 약간 들떠 있는 먼지들이 소행성 표면으로 다시 가라앉는데 한 2주 정도 시간이 소요되고 그 2주 이후에 저희가 다시 정밀한 관측을 수행할 예정에 있습니다.
[앵커]
2주 뒤, 이 실험이 완전히 성공했는지 알 수 있다는 말씀이신가요?
[답변]
네, 맞습니다.
[앵커]
어쨌든 궤도를 바꾸는 데 성공을 한다면 사실 우리가 이제 이번에는 초기적인 실험이었고요.
영화에서 보면 핵탄두를 날려서 소행성을 폭파시킨다든지 이런 내용들이 있잖아요.
사실 그런 앞으로 추가적인 실험도 준비 중인 건가요?
[답변]
사실 우리 ‘아마겟돈’을 보면 그런 장면들이 나와 있는데 우주 공간상에서 핵을 사용하는 것은 사실 국제법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앵커]
그런 규제가 있군요.
[답변]
뿐만 아니라 핵을 사용했을 때 여러 가지 부작용이 훨씬 더 크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지금 다트 프로젝트와 같이 우주 물체 혹은 로켓 바디를 직접 소행성에 충돌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그런 방법입니다.
[앵커]
그렇군요.
이번 충돌 실험이 인류사적으로 어떤 의의를 갖는지 그것도 한 번 설명을 해 주실 수 있을까요.
[답변]
이런 우스갯소리가 있습니다.
'공룡이 멸종했던 것은 그때 당시에 천문학자가 없어서다' 라는 이야기가 있는데요.
지금 저희 인류는 이렇게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의 궤도를 변화시키는 그러한 최초 실험을 한 것입니다.
이것은 저희가 가만히 앉아서 소행성의 위협을 지켜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우주 공간에 나가서 그 궤도를 변경해서 지구를 구해보는 그러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앵커]
과학이 인류의 절멸을 막을 수 있는 대안이 되는 거군요.
알겠습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KBS 지역국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野 ‘박진 해임 건의안’ 강행…與 “민심 심판 받을 것”
- [단독] 尹-펠로시 통화 직전 대통령실에 ‘IRA 핵심 내용’ 보고됐다
- 해리스 “IRA 한국 우려 챙겨볼 것…‘비속어 논란’ 개의치 않아”
- [단독] 제주 바다서 천연기념물 ‘점박이물범’ 첫 포착
- 시애틀 집값 18% 떨어졌다…집값 하락 전세계 동조화, 한국은?
- [영상] 도로 위 맥주병…시민들 ‘티키타카’로 5분 만에 수습
- 대형마트·백화점 주차장 제연설비는 절반 미만
- 개인정보 빼내 대출·명품 구매…“피해자 극단 선택”
- 현장에서 계좌 지급정지…ATM 무통장 입금 한도 축소
- [영상] “방역 위해 쌀·계란을 버린다고?”…中 코로나 또 ‘과잉 방역’